-
-
AI 반도체 혁명 - 3차 반도체 전쟁, 최후의 승자는 누가 될 것인가
권순우 외 지음 / 페이지2(page2) / 2024년 9월
평점 :
반도체의 원리나 종류에 대해 제대로 알지 못하고 정확히는 알고 싶어 하지 않은 사람들이 많지만 사실은 우리가 초등학교 다닐 시절에 이미 배웠다. 전기가 통하면 도체, 반대는 부도체이고 두 가지 성질을 모두 가진 물체가 반도체이다. 그 시절에는 반도체가 이렇게 널리 사용될 줄은 상상도 하지 못하였다. 반도체에 대해 알지 못하더라도 이제는 반도체가 없는 세상은 상상하기 어려울 지경이다. 우리나라가 반도체, 2차 전지, 조선, 자동차 등에 있어 강자라고 알고 있고 삼성전자가 지금은 위기를 맞이하고 있다고 한다. 10여 년 전 반도체 춘추전국시대에서 치킨 게임을 통해 살아남은 1위인 삼성저자가 어쩌다가 이렇게 되었을까? 정확히는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는 D 램에서 최강자이고 CPU와 같은 시스템 반도체 영역에서는 그렇지 못하다. 책의 내용을 제대로 이해하기 위해서는 D 램, 낸드플래시 메모리, 파운드리와 같은 반도체 산업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용어들에 대해서는 잘 알고 있어야 한다. 책의 제목이 AI 반도체 혁명이므로 반도체와 AI에 대한 기본적인 지식이 있어야 도움이 될 것이다. 그렇지 않다면 뜬구름 잡는 소리라 생각하고 책의 내용을 이해하지 못할 것이다. 그렇다고 상당한 지식을 요하는 것은 아니다. 기본적인 용어 정도라도 알고 있어야 한다는 의미로 보면 될 것이다.
우리가 역사를 공부하는 목적이 과거를 알아야 현재를 제대로 이해하고 미래를 대비할 수 있기 때문이라 생각하는데 이는 산업에 있어서도 마찬가지라고 본다. 반도체의 과거인 탄생 배경과 성장 과정을 알아야 앞으로의 전망도 가능할 것이다. 에니악이라는 무지하게 큰 컴퓨터에서 시작하여 이제는 그보다 성능이 훨씬 뛰어난 컴퓨터를 한 손에 들고 다니고 있으니 엄청난 발전이라 할 것이다. 아마 산업 중에서 가장 빠른 변화를 겪고 있지 않나 싶다. 어떻게 반도체 산업이 발전하였고 현재는 어디까지 와 있는지를 상당히 자세하게 하지만 전문적인 용어는 가급적 생략하고 쉽게 설명하여 이해하고자 하는 사람은 어렵지 않게 접근할 수 있다. 어렵다고 생각하고 시대에 뒤처지든 말든 생각하기 싫다고 생각하는 사람은 어차피 책을 펼칠 일도 없으니 고민할 필요는 없을 것이다. 위기의 삼성, 반도체 수출 부진을 정부 정책 탓으로 돌리는 사람들도 있지만 스스로가 자초한 일이기도 하다. 삼성전자가 원척 기술이 없어 기술 사용료를 지불하고 있다는 사실은 알만한 사람들은 다 알고 있다. 그러한 이유로 신 제품을 생산하기 위해서는 수많은 시행착오를 겪어야 하는데 소위 하는 말로 사람 갈아서 만들어내는 것이다. 이런 기업 문화를 개선하지 못하고 관행적으로 일을 해오고 기술의 변화에는 대응하였는지 모르겠으나 조직 문화의 변화에 적절히 대응하지 못한 이유라고 생각한다.
책에서는 엔비디아가 왜 이렇게 각광을 받고 있는지에 대해 설명을 한다. 쿠다라는 생태계를 장악하고 있기에 당분간 인공지능 반도체에서는 엔비디아를 대체할 수는 없을 것이다. 하지만 인텔의 아성이 무너진 것처럼 삼성도 위기로 치닫고 있듯이 엔비디아도 방심하다가는 추락할 수도 있다. 불과 수개월 전만 해도 10여 년간 시가총액 1위를 고수하던 애플이 2위에서 3위까지 밀려날 뻔한 적도 있지만 다시 1위를 굳건히 지키고 있다. 우리가 반도체 회사의 CEO가 아니기에 어떤 기업이 흥하고 망할지는 크게 관심이 없을지도 모른다. 하지만 내가 책을 읽은 목적은 주식투자를 하고 있기 때문이므로 당장 내 돈이 걸려 있으므로 쉽게 생각할 수만은 없다. 주식 투자를 위해서는 알아야 할 것도 많다. 꼭 주식 투자만이 아니더라도 시대의 변화에 따라가고 반도체 관련 대학과 취업을 꿈꾸는 자녀들에게 현실적인 조언을 해주려면 이 정도 지식은 있어야 할 것이다. 딥페이크 범죄가 심각하고 인공지능이 내 정보를 탈취해가다고 걱정만 하고 온 디바이스 AI가 뭔지에 대해서는 알아볼 생각도 하지 않은 다면 비 온다고 걱정만 하고 우산을 꺼낼 생각조차 하지 않는 것과 다를 바 없다. 모르는 것은 약이지만 아는 것은 힘이다. 시대 변화에 적극적으로 대응하기 위해서 알아야 할 지식이 더 필요한 것이고 지식을 더 쌓기 위해 도움을 주는 책이라 생각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