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적게 일하고 많이 버는 AI 워커스 - 생성형 AI를 주무르는 최상위 일잘러들의 커리어 생존 전략
김덕진.김아람 지음 / 21세기북스 / 2024년 8월
평점 :
언제부터인지 몰라도 챗-GPT 같은 인공지능의 도움을 받아서 일을 한 것이 아니라 이제는 인공지능과 함께 일을 하고 있다고 해도 무방할 것이다. 모르긴 해도 자기소개서 작성의 경우 상당히 많은 사람들이 인공지능을 활용하여 작성하고 있을 것이다. 또한 심사하는 사람들 역시도 적절히 잘 활용하고 있기에 누가 덜 인공지능스럽게 작성하느냐가 승패를 가른다고 본다. IT 개발 업무를 하고 있다 보니 코드를 작성해달라고 사람에게 말하듯이 인공지능에게 요청하면 내가 타이핑을 하는 속도보다 월등히 빠른 속도로 그것도 오류 없이 거의 정확하게 코드를 작성해 준다. 우리는 그것을 복붙하여 사용하거나 일부만 수정하여 활용한다. 이제 일을 얼마나 잘 하느냐는 개인의 역량에도 달려 있지만 생성형 AI를 얼마나 잘 활용하느냐에 달려 있다고 해도 무방할 것이다. 물론 생성형 AI를 잘 활용하는 것도 개인의 역량 중 하나인 것은 분명하다.
책에서는 이런 생성형 AI를 어떻게 잘 활용하는지 즉 프롬프트를 얼마나 잘 작성하는지에 중점을 두고 있다. 주로 마케팅이나 고객 관리 차원에서 어떻게 활용할지에 대해 먼저 소개가 되었고 관련 직종에 근무하지 않아 상당히 와닿았다. 그렇다면 정말 광고나 마케팅 부서 인력은 대폭 삭감해도 되는 것인가라는 생각까지 들었다. 실제로 회사에서 생성형 AI를 활용하여 외부 감사 시 대응하는 LLM 모델을 개발하였는데 100%의 정확도를 자랑하지는 못하지만 답변은 상당히 만족스러웠다. 특히 고위 임원진들이 상당히 만족하였는데 이런 식으로 생성형 AI를 학습 시킨다면 10명이 해야 할 일을 1~2사람으로 줄일 수도 있고 그동안 야근하면서 하던 일이 사라질 수도 있다.
내가 개발 직군에 있어서 그런지 몰라도 책에서 소개한 개발/데이터 직군에 대한 내용은 크게 와닿지는 않았다. 어쩌면 이미 활용하고 있는 것을 책을 통해 다시 접했다고 봐야 할까? 즉 책의 내용은 생성형 AI를 어떻게 활용할지 호모 프롬프트의 역할에 대해 상세히 이야기하고 있는 것이다. 인공지능이 알고 있는 것은 어마어마하게 많은데 우리가 원하는 지식을 잘 추출해 내는 것이 능력인 것이다. 과거에는 검색을 통해 필요한 지식을 찾았는데 어느새 자연어 검색이 되면서 정보 검색에 대한 수준이 낮아졌고 누구나 원하면 쉽게 정보를 검색할 수 있게 되었다. 이제는 그마저도 대화를 하듯이 정보를 찾아가므로 혁명적이다. 그렇다고 마냥 좋은 것만은 아니다. 당장 요즘 이슈가 되고 있는 딥페이크의 경우 현재까지 마땅한 해결책이 없으며 인공지능과 인간이 어떻게 공존할 것인가에 대해서도 고민이 필요한 시점이다. 하지만 무엇보다 중요한 것은 생성형 AI는 스마트폰처럼 이미 우리의 삶에 파고들었으며 거부할 수 없다는 것이다. 스마트폰의 안 좋은 면에 대해서 말을 하지만 스마트폰이 없이 하루를 살아본다면 상당히 갑갑할 것이다. 다들 사용하고 있는데 나만 사용하지 않는다면 시대에 뒤처진 사람이 되고 말 것이다. 결국 생성형 AI를 활용해야 한다면 고집부리면서 거부하기 보다 적극적으로 수용하는 자세가 필요하다고 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