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메 할머니 꽃보다 아름다운 우리
오채 지음, 김유대 그림 / 주니어RHK(주니어랜덤) / 2010년 6월
평점 :
구판절판


할머니라는 단어보다 할매라는 사투리가 더 익숙한 나는 <오메 할머니>라는 제목이 너무나도 와 닿고 인상깊었다. 책을 읽으면서 자연스럽게 오래도록 병상에 계신 할머니가 생각이 났다. 나의 산후조리는 물론 혼자 자취생활할때 말동무도 되었고 밥도 해주셨는데 시집을 갔다고 그런지 할머니를 자주 찾아뵐 수 없어서 너무도 안타까운 생각만 가득하다.

 

오메오메 주름이 주글주글하지만 동네 여기저기 다니시며 10원짜리 화투는 물론 이런저런 간섭과 대화를 이끌어 나가시던 할머니, <오메할머니>책속 주인공과 너무도 비슷하게 닮은 모습이다. 절대로 남들에게 지지않은 강함, 여기저기 참견하시는 할머니 캐릭터가 너무도 익숙하고 친숙해서 동화를 읽는내내 많은 생각을 하게 되었다.

 

자칭 '화순깡패'로 통하는 화순댁 오메할머니는 자신의 마지막을 앞두고 아들네집에 들렀다. 자신이 평생동안 삶의 터전이었고 전 재산이었던 땅 판돈을 들고서 말이다. 어떤마음이셨을까. 삶이 팍팍하고 어려운 아들네부부와 은지 그리고 함께 사는 개 봉지, 공원에서 만나 함께 삶을 마지막을 나준 반지댁할머니와 빡스댁할머니 그들의 이야기이다.

 

소식조차 모르는 아들이 있어 보조금을 받지 못해 박스를 모으시는 빡스댁할머니의 교통사고로 오메할머니는 서명운동까지 벌이셔서 할머니와 손주를 도와준다. 돈은 많지만 행복하지만은 않는 반지댁 할머니, 은지네 가족의 또 다른 가족인 개 봉지 또한 책속에서 중요한 주인공이다. 그들이 펼치는 이야기는 유쾌하고 즐거운 웃음이 가득하지만 눈물또한 쏙 빠지는 감동도 함께 존재한다.

 

처음엔 같은 공간에 있을 수도 없었던 봉지와 할머니 차츰 함께 늙어가는 자신과 봉지의 모습을 바라보면서 오메할머니는 자신의 신세와 비슷함을 느끼고 안쓰러운 생각에 어느순간 진정한 가족이 된다. 산책도 함께 하고 잠도 함께 자는 봉지 또한 할머니가 무척이나 낯설고 싫었지만 할머니와의 정을 느끼며 마지막을 함께 보낸다. 봉지는 함께 등장하는 중요한 주인공이기도 하지만 봉지의 생각이나 감정을 엿볼 수 있어 애완동물의 마음을 엿볼 수 있는 계기도 된다.

 

가족들과 마지막 추억을 하나씩 쌓아두던 할머니는 자신에게 얼마남지 않은 시간을 감지한다. 아들네 부분의 어려움을 알지만 자신이 가진 돈을 선뜻내놓지는 않은데 오히려 며느리와 손녀와의 갈등만 생긴다. 많이 아픈 봉지를 병원에 데려다 주다 쓰러진 할머닌 결국 다시 집으로는 돌아오지 못한다. 제대로 된 영정사진 한장 없는 모습을 보면서 자신이  마지막 효도를 다하지 못했다는 생각에 아들은 가슴찢어지기만 한다.

 

자칭 깡패였지만 오메할머니는 정있고 따뜻한 할머니였다. 언제나 떠난 후에 후회하는  우리 모습처럼 아들네부부에게도 왜 계실때 잘해주지 못했느냐 말해본다. 나 또한 후회할줄 알면서도 제대로 못하고 있지만 말이다....

책을 읽다보니 저절로 눈물이 흘러내린다. 얼마남지 않은 삶을 쓸쓸히 홀로 병원에서 지내고 계신 할머니 생각이 더욱 간절해진다. 엄마와의 관계, 가족들과의 관계때문에 할머니에게 화를내며 눈물까지 쏟게 만들었던 철없던 시절이 더더욱 후회되고 아쉬움 가득하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