레온과 마법사 압둘 카잠 노란상상 그림책 1
안젤라 맥앨리스터 지음, 김경연 옮김, 그레이엄 베이커-스미스 그림 / 노란상상 / 2010년 5월
평점 :
절판





 
어린시절 마술과 관련된 텔레비전 프로를 보면서 정말 사실일까. 사람이 안으로 들어갔는데 어떻게 없어졌을까 하는 상상과 의문을 갖고 있었다. 수 많은 테크닉과 장치들이 사실인걸 알고는 조금은 실망을 했었다. 아직 우리 아이들은 마술을 믿는 것 같았다. 간단한 동전마술의 테크닉으로도 환호의 소리를 들을 수 있으니 아직은 많이 순수하구나 하는 웃음을 지어본다.
 
 

<레온과 마법사 압둘카잠>에서는 어린시절 상상속의 마술 현장이 책속으로 고스란히 들어갔다. 마법을 보러 간 레온과 일행 형제들은 믿을 수 없다며 다 속임수라지만 레온은 "마술은 마법이야. 믿어봐"라며 마술이 속임수가 아니라 마법이라 생각한다. 파란색 커튼에서 새어나오는 황금빛 불빛은 황홀한 듯 책속으로 빨려들어 간다.



마법에 쏙 빠져든 레온의 얼굴을 보는 것처럼 아이들도 압둘카잠의 마법같은 마술에 빠져든다. 비둘기나 나오고 스카프의 색이 변하고, 수 없이 쏟아지는 종이꽃들은 마술을 의심했던 어른아이 할것 없이 환호의 소리가 들리는 듯하다.



마법속으로 들어가는 곳으로 들어가게 된 레온은 상자속에 숨은 사이라는 곳에 도달한다. 마법을 통해서만 갈 수 있는 곳 "사이"에서는 압둘가잠이 보여줬던 많은 마법의 동물들과 물건들이 사라져 사이라는 마법의 공간에 도달한 것이다. 공간에서 마법사의 아들을 만나고 불쌍한 토끼를 안은체 자신을 부르는 마법의 소리를 들리고 다시 현실로 돌아온다.
 
마술이 마법이라고 믿는 한소년이 직접 마술사의 마법의 세계를 경험하고, 믿는 사람들은 누구나 갈 수 있다고 이야기해준다.  레온의 용기와 누군가를 무엇을 믿느냐에 따라 달라 질 수 있다는 것을 알게 된다.
 
<책을 읽고 활용하기>
진짜 마술을 경험하면 너무 좋을 것 같았지만, 화려하고 멋스러운 마법의 세계를 그림으로 표현하고자 스크레치 방법으로 그림을 그려본다. 
아직 마법의 세계가 무엇인지 제대로 잘 몰라서인지, 평범한 그림을 그려낸다.
 
-.무지개색을 먼저 칠하고 난뒤 검정색 크레파스로 색칠
-. 원하는 그림을 이쑤시개나 다른 뽀족한 것으로 긁어내듯 그려내면 바탕으로 칠했던 색이 나타나면서
마법같은 놀라운 색채를 볼 수 있게 된다.



무지개색으로 바탕을 색칠한다.




무지개색으로 바탕을 색칠한다.



검정색으로 덧칠


검정색으로 덧칠



 
저기와 여기의 사이, 마법을 통해서 갈 수 있었던 곳과의 만남은 화려한 일러스트로 그림책을 보는내내 황홀한듯한 기분이 들었다. 아이들이 그려낸 그림 또한 흐믓한 미소가 절로 지어진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