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영원히 사는 법 ㅣ 그림책은 내 친구 22
콜린 톰슨 글.그림, 이지원 옮김 / 논장 / 2010년 4월
평점 :

<영원히 사는 법 - 논장>
이 책을 다 읽고서 영화 <박물관이 살아있다>가 생각이 났다. 밤만 되면 박물관에 전시되어 있는 모든 사람들과 동물들이 살아나와 자신들의 언어로 대화하고, 실제 역사처럼 싸우거나 한다. 박물관 관리인마저 늙고 힘든 노인에서 힘쎈 노인이 되니 신비한 상상속의 세계가 보여져서 아이들과 함께 정말 재미있게 본 영화이기에 <영원히 사는 법>책과 왠지 모른 비슷하게 매치되었다. 저녁에 도서관 문이 닫히면 마치 마법처럼 책장이 살아 움직이니 영화랑 조금은 비슷한 듯하다.
도서관의 책장은 살아나고, 책들 뒤쪽에서 문과 창문이 생겨나 불이 켜지고 책속에서 목소리가 들리고 새로운 책장속에서 새로운 도시가 탄생한다. 오래전 사라진 책 <영원히 사는 법>의 존재를 알고 있는 피터는 브라이언과 함께 영원히 늙지 않는 책을 찾아 오랫동안 헤맨다. 책장 곳곳에 숨겨진 명작들의 제목들을 만날 수 있고, 숨바꼭질하듯 책장속에 숨겨진 듯한 물건들을 만날 수 있다.

방과 방사이를 모두 뒤지고, 지하실과 비밀책장까지 모두 찾아보았지만 일행은 찾을 수 없었다. 하지만 피터는 곧 늙은이 네명을 발견하고 분명 모를거라 생각했지만 그들은 빛바랜 책속으로 피터를 안내하고 <영원히 사는법-초보자를 위한>영생이라는 책을 내민다. 그토록 찾던 책을 찾지만 늙은 노인을 보고는 이상하게 생각한다. 불멸의 삶이 효과가 없나보다 생각하지만. 노인들은 영원한 아이에게 피터를 안내한다.

피곤하고 핏기하나 없고 생기라고는 전혀 찾아 볼 수 없는 영원한 아이는 피터에게 책을 읽지 말것을 당부한다. 영원히 산다는 것이 절대 살아 있는 것이 아니어서 영원한 아이는 책을 숨겼다고 말한다. 피터는 과연 영생의 책을 읽었을까 읽지 않았을까.
한권의 책에서 정말 수 많은 책세상을 본 듯하다. 책장속에 숨겨진 도시 곳곳의 모습을 보면서 작가의 상상력에 놀라운 감탄을 하지 않을 수가 없었다. 서랍속의 집, 책속에서 펼쳐지는 진풍경, 사다리, 기차, 악기, 자연, 동물들 책속에서 마치 숨은 그림을 찾아내는 것처럼 이곳저곳을 구경하느라 책을 넘길 수가 없다. 책들의 제목 또한 원제목을 약간 변경을 해서 그런지 우숩고 어떤 책의 제목의 변형인지 저절로 찾아보게 된다.
진시황제가 영생의 삶을 원했지만 실제로 찾을 수 없었다. 책속의 피터는 찾았지만 그의 결정은 현명했다. 진시황제는 왜 그토록 영원의 삶을 원했을까 하는 엉뚱한 상상을 해본다. 영원의 아이 말처럼 살아있는 것이 절대 살아 있는 것이 아니었을 텐데, 물질적인 풍요로움도 영원의 삶을 행복해주지는 않았을텐데... 영원한 아이의 모습을 보면서 좋은 점보다는 단점이 더 많지 않을까 생각한다.
책의 마지막에서 허투루 적힌 책의 원제목들이 나열되어 있어서 호기심 많은 독자들을 위한 페이지를 실어 두었다. 못찾은 책들도 보이고, 쉽게 기억되는 책들도 있어서 책을 오랫동안 곁에 두고 싶어진다. 한권의 그림책으로 정말 멋진 세상으로 여행을 한듯하다.
<독후활동-초1>

아직 영원의 삶을 상상하기에는 너무 이른나이인듯하여 멋진 책표지를 한번 그려보기로 해봄.

<영원히 사는법>처럼 멋지고 신비한 표지는 아니지만, 아이가 좋아하는 책들로 꾸며지고 아이들의 상상속에
담긴 한권의 표지가 탄생된듯하다. 현재는 칸이 많이 비어있지만, 다음에는 더 멋진 책장들로 아이들만의 책장을 그려넣고 싶다.
아이들과 함께 오랜시간 두고두고 찾아보며 보고 싶은 책으로 기억될 것 같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