죽은 새의 비밀 - 삶의 순환과 죽음에 대한 안내
얀 손힐 지음, 이순미 옮김, 정갑수 감수 / 다른 / 2008년 9월
평점 :
품절


 

어느 날 이었던가 고교시절 따뜻하고 나른한 오후 어느 수업시간 열중히 수업을 듣고 있는 그 순간 교실창문에 무언가 쿵하고 부딪힘이 일어난다. 순식간에 아이들은 후다닥 뛰어가 정체를 확인하고 깜짝놀라지 않을 수 없었다. 이름 모르는 아기새가 청소시간에 열심히 닦아 놓은 창문인줄도 모르고 부딪혀서 아기새는 어미곁으로 가보지도 못하고 죽음을 맞이 했다.
 
어미새의 따뜻한 보호를 받으며 태어났던 아기새는 아무런 예고도 없이 한순간의 실수로 죽음의 길로 들어섰다. 인간이든 동물이든 하다못해 균들까지도 삶과 죽음은 존재한다. 살아야한 이유도 있는 것이고 죽어야할 또 다른 이유또한 존재하는것이 바로 삶이며 죽음이다.
 
우연히 발견한 벌새의 죽음을 보고 저자는 이책을 시작했다고 한다. 책속에서는 인간의 삶과 죽음 뿐 아니라 만물의 삶과 죽음을 함께 이야기하고 있다. 죽음의 순환에 대해 낱낱이 책속에서 볼 수 있고 때로는 포식자에 의해 죽음을 맞기도 하고, 우연한 사고에 의해 목숨이 다해지기도 하는 삶..그리고 죽음에 관한 안내서이다.
 

우연한 목격한 벌새의 죽음을 보고 시작했다는 이책의 시작은 왜??? 라는 의문으로 시작된다. 왜 죽어야했는지, 어떻게, 죽은후에 그리고..의 의문의 답과 궁금증 전부를 알아볼 수 있다.
1장에서는 언젠가는 죽는 삶에 대해 구체적으로 알 수 있는데, 동물의 개체수, 수명 오래된 혹은 아주 짧은 생물체의 삶과 죽음을 볼 수 있다.



2장에서는 제목처럼 어떻게 죽는지에 대해 생각한다. 파리의 죽음조차 다양하게 생각할 수 있는데 수 많은 생물의 죽음의 원인은 아마 상상할 수 없는 숫자가 되어질테다.소비자인 모든 생물체가 살기위해서는 에너지를 섭취해야하고 그렇게에 다른 소비자의 먹이가 되고 때로는 그 먹이를 먹어야 사는 것이다. 식물,초식,육식,잡식, 기생충등 많은 포식자들의 소개는 물론 전염병과 사고사에 이르는 많은 죽음에 대해 알게 된다. 많은 소비자와 포식자 중 가장 큰 파괴자는 바로 인간이라는 것을 깨닫는다.



죽음은 또 다른 시작이라고 누군가 말했듯이 생명체의 죽음 그 후의 모습을 3장에서 볼 수 있다. 죽음은 생명체의 모든 과정의 마지막이지만 그들이 누군가의 삶의 유지를 위한 먹잇감이 되거나, 때로는 죽어 부패되고 분해되는 과정을 거쳐서 또 다른 생명 탄생의 기본이 되는 것을 알 수 있다. 삶과 죽음은 별도로 이야기가 되지 않는 다는 증거일테다.



4장에서는 먹이그물의 최상위자인 사람의 죽음에 관한 많은 이야기들을 볼 수 있는데, 죽음을 애도하고 슬퍼하며 장례라는 특별한 예식 소개는 물론 사후세계 즉 윤회에 이르는 많은 궁금증의 해답을 일러주고 있다.
 
자기몸의 8배를 먹어야하는 벌새의 죽음을 통해 발상이 된 이 책은 오랫동안 기억이 될 듯하다. 단순한 동물의 삶과 죽음이야기일지도 모르지만 많은 생각을 하게 되었던 것 같다. 책속 가득한 사진과 그림들이 삶과 죽음의 순환에 대한 궁금증을 풀어주기에 충분했던 것 같다. 캐나다 자녀교육 금상 수상이라는 수상작이름이 과연 헛되지 않았다 알 수 있었다.
 
[책을 읽고 활용하기]
제2장에서 배웠던 먹이사슬에 대해 알아보기로 함.


 
풀과나무-메뚜기-쥐-토끼-뱀-사슴-호랑이등의 소비자들을 먹이사슬을 통해
먹고 먹히는 관계를 알아봄.
 


육지동물에 이어서 풀숲에서 볼 수 있는 먹이사슬을 추가로 그려보았고,
 
2. 아이가 어려서 배우고 익혔던 동물카드를 활용하여 동물을 초식과 육식 그리고 잡식을 나누어 보기도 함.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