발해를 왜 해동성국이라고 했나요? - 해동성국 발해에 대한 궁금증 48가지 왜 그런지 정말 궁금해요 40
송기호 지음, 문종인 그림 / 다섯수레 / 2010년 3월
장바구니담기


(발해를 왜 해동성국이라고 했나요?)



<왜 그런지 정말 궁금해요> 시리즈의 40번째 책으로 우리 나라 역사상 가장 넓은 영토를 가진 나라였던 발해에 관한 모든 궁금증을 해결해주는 책이다. 그동안 왜 그런지 정말 궁금해요에서는 문화, 건축, 역사, 동물등의 다양한 주제로 궁금증을 해결하는 형태로 재미있는 질문과 재치있는 대답으로 아이들의 궁금증을 해결해주고 있는 지식책이다.



발해사가 많이 알려지지 않았던 시절부터 발해에 대해 연구해오셨다는 송기호 교수님의 집필로 발해의 문화, 음악등의 발해의 모든것에 대해 보여지고 있다.

왜 해동성국이라 불리었는지, 발해의 고유문자가 있었는지, 학교가 있었는지, 발해가 망한뒤의 사람들은 어찌 되었는지등등 아이들의 호기심을 해결해주는 질문으로 발해의 모든 것을 알려 주고 있다.


고구려 멸망후 고구려의 장수였던 대조영이 세운 나라라고 알고 있는 발해, KBS드라마로도 방영되었었기에 대조영이라는 이름은 전혀 낯설게 다가오지 않는다. 동모산을 시작으로 발해는 우리나라 역사상 가장 큰 영토를 가졌었지만, 200년간 발전하다가 거란족에 의해 망한 나라이다.

책 속 지식들을 살펴보다보면 발해가 남긴 수 많은 문화의 흔적들을 찾아 볼 수 있다. 발해가 남긴 성터, 우물, 토기, 탑, 무덤 건축물등 많은 발해의 흔적들이 지금은 중국의 땅 곳곳에 있다는 사실은 조금은 안타깝다. 지금 우리땅이었으면 쉽게 가볼 수 있지 않을까 하는 생각도 함께 든다.


발해를 해동성국이라 불린 이유는 당나라 사람들이 붙여 준 이름으로 '바다 동쪽에서 융성한 나라'라는 뜻이라고 한다. 황제의 나라였으며 무왕은 당시 당나라를 공격하기도 한 힘센 나라였다고 한다. 수 많은 성터 중 가장 북쪽에 있는 니콜라예프카 성터에서는 책을 쓰신 교수님이 직접 발굴현장에 참여를 하기도 했다고 한다. 발해는 교역또한 활발했고 일본과의 왕래 또한 있었고 책속에는 발해 사신이 도착하던 항구의 모습의 사진 또한 볼 수 있다. 이밖에도 일본에서 발견된 발해 유물, 발해의 문자, 발해의 학교인 주자감이라는 곳이 있었다는 사실을 알 수 있었으며, 불교의 나라였으며, 불상, 불탑, 사리함의 사진또한 볼 수 있어 발해사의 중요한 역사적인 사실들을 책속에서 만날 수 있다.


책속에서 가장 인상깊은 것은 발해 사람들이 남긴 그림이다. 정효공주 무덤에 남겨진 벽화속에는 공주를 모시던 12명의 인물들이 그려져 있었는데 시종, 악사, 무사등의 그림이 있는데 벽화를 통해 발해 사람들의 모습을 짐작할 수 있고 최근 북한에서도 발해 무덤이 벽화가 발견되기도 했다고 한다. 품계에 따라 나뉘어진 옷의 색, 그들이 하고 있는 옷차림을 볼 수 있고, 당시 사람들의 얼굴모습, 생활문화등을 보여주고 있다.


다양한 질문을 통해 발해에 대해 모든 것을 알아보았다면 책의 마지막부분에서는 발해의 연대사를 통해 발해의 건국부터 발해의 멸망까지 한번에 보여주고 있다. 현재 우리나라 군함인 대조영함의 사진 볼 수 있다.



<왜 그런지 정말 궁금해요> 시리즈는 아이들이 흔히 왜요???라고 질문을 하는 것처럼 누구나 한번쯤은 궁금해 하는 내용들이다.간결한 질문과 대답의 형태로 이루어져 있어 아이들의 궁금증을 쉽게 해결해준다. 지루해보이는 역사를 많은 사진들과 자료들을 첨부하여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설명해 놓은 책이라 그런지 아이들도 쉽게 익힐 수 있다. 다음권에서는 어떤 재미있는 질문들을 만날 수 있을 지 기대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