먼저 손을 내밀어 봐 - 화해 저학년 어린이를 위한 인성동화 3
정민지 지음, 손재수 그림 / 소담주니어 / 2010년 1월
평점 :
구판절판


아이가 초등1학년에 입학을 하여서 그런지 인성동화에 자주 손이 간다. 학습보다 우선이라고 생각하지만 아이들에게 어떻게 일러주어야할지 늘 고민되어 자주 인성동화를 접하는 것 같다. <먼저 손을 내밀어 봐>는 소담주니어 저학년을 위한 인성동화 세번째 책이다.

 

싸우기는 쉽지만 화해는 더 어렵다. 아이들이 가끔 친구들과 다툼을 할때보면 자기는 절대 잘못을 하지 않았다며 화해를 할 수 없다고 하는 경우들이 많다. 비단 아이들뿐이 아니다. 나 또한 아직 화해를 못한 친구가 있어 동화를 읽으며 많은 반성을 하게 된다. 남매를 키우다 보니 서로 다투는 일이 자주 있어서 서로에게 화해의 손을 내밀라고 말을 하면, 언제나 서로의 잘못이라며 눈물을 흘리며 애정으로 호소하는 아이들, 어떻게 대처해야할지 난감할 때도 있는데 그때마다 아이들이 스스로가 잘못을 깨닫고 화해를 먼저 해주었으면 하는 생각이 절로 든다.

 

<먼저 손을 내밀어 봐>에서는 4가지 동화를 통해 화해의 방법, 화해가 진정 서로를 아끼고 지키는 방법임을 알아 갈 수 있게 된다.

 

(십년우정, 와장창 깨지다)에서는 제목처럼 오랜 우정을 지닌 아이들이 물을 먼저 먹겠다 싸우며 일이 시작된다. 처음으로 물을 건넨 우주는 친구의 다툼에 맘이 불편하고 화해의 별을 만나 둘을 화해시키기에 이른다는 내용이다. 화해의 방법도 좋지만, 우선은 싸우지 않는 것이 먼저 일테다. 화해의 별 키키는 싸우지 않는 비결은 서로를 존중하는 것이라 일러준다.

 

(만만한 우리 누나의 일기장)에서는 일기를 베껴쓰던 동생은 누나와 다툼을 하고, 사과를 하지만 오히려 사과가 더 큰 문제를 일으키게 되는데, 두번째이야기에서는 사과할때는 어떤 상황에 있느냐가 중요하다는 것을 일러주고 있다. 무작정 사과를 하는 것이 아니라 상대의 기분, 장소등을 적절히 파악하고 있어야한다는 것을 말하고 있다.

 

(외톨이 나무 아래에 서서)에서는 새학기 들어 소희는 인영이와 친해지고 싶어하지만 오히려 멀어지기만 하는데, 이유를 모르던 차에 외톨이 나무와의 대화로 인영이와의 화해를 한다는 이야기이다. 세번째 이야기에서는 화해의 단계에 대해 일러주고 있는데, 첫째 상대가 왜 화나 났는지 귀담아 들을 것,  둘째. 변명을 늘어 놓기 전에 그 아이의 마음을 이해하고 공감할 것. 셋째. 진심으로 사과하기, 넷째. 나의 입장과 마음을 이야기하기 다섯째. 앞으로의 다짐 순으로 화해를 하라고 말을 한다.

 

(내 취미는 딱지치기)에서는 딱지왕 찬이가 새로운 딱지왕에게 도전하기 위해 아빠의 서류로 딱지를 만들고 벌어지는 이야기이다. 아빠의 어려움이 꼭 자신이 딱지를 만들어 된것 처럼 자괴감에 빠진다. 마지막이야기에서는 스스로에게도 용서를 할 줄 아는 마음을 배우게 하고 있다. 네가지의 이야기를 읽다보면 아이들 스스로가 화해를 어떻게 하는지 알게 되고, 먼저 손을 내미는 용기있는 아이가 될 수 있을 것 같다.

 

학교 생활 처음인 아이에게 늘 하는 말이 친구들과 사이좋게 지내라는 말을 하고 있는데 하지만 언제나 사이좋게 지낼 수만 없는 것을 안다. 다툼이 일어 났을 때 어떻게 대처해야하는지 또한 어떻게 화해를 해야하는지 책을 통해 배웠으니 상대를 존중하고, 이해하고 먼저 손을 내밀줄 아는 용기있는 어린이로 자라기를 희망해본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