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든 게 다 우울한 밤에
나카무라 후미노리 지음, 양윤옥 옮김 / 자음과모음(이룸) / 2009년 3월
평점 :
절판



제목만 보아서는 절대 책을 읽고 싶지는 않았다. 평소 우울이라는 단어와 나는 전혀 연관이 없다는 생각을 지니고 사는 편이다. 늘 긍적적이며 밝으로 노력했기에 우울이 들어가는 제목은 사실 나와 어울리지 않다고 먼저 느꼈기때문이다. 평소 우울하다는 지인의 말에 나는 우울은 자기 스스로가 파는 무덤이다며 당당하게 자신을 찾을 것을 늘 강조해왔는데, 책을 읽으면서 살짝 우울해지는 기분은 어쩔수 가 없나보다.

 

이 책의 저자 나카무라 후미노리는 [흙속의 아이]가 아쿠타가와 상을 수상하며 국내에서 알려지기 시작했다고 한다. 아직 흙속의 아이외 그의 작품을 읽어보지는 못한 터라 최근 작인 이책이 무척이나 궁금했었다. 그렇게 이책을 들게 되었다. 인간의 본성과 심리를 다룬 책이라 나에게는 쉽지 않았다.

 

우울하고 불안하기만 한 어린시절을 보내며 자랐던 주인공 나는 현재 교도관이다. 남들보면 편한 공무원처럼 보이지만 아무런 반항을 하지 못하는 누워있는 사람에게도 배를 걷어차야만 속이 시원하리만큼 베베꼬이기도 한 그에게 "야마이"라는  사형수를 만난다. 야마이는 주인공 나와 마찬가지로 가족의 사랑을 받지 못한 체 불안한 어린시절을 보내었고 아무런 이유없이 부부를 살인한 죄로 사형수가 되었지만 항소도 하지 않은 체 그저 죽을날만 기다린다.

 

그저 일상의 일처럼 느꼈던 교도관 일이 야마이와의 만남으로 새롭게 다가오는 주인공, 자신에게 언제나 따뜻했던 자신을 죽음에게서 구해주었던 보육원 원장이 생각나고 야마이에게 그사람이 되어주려 차츰 다가간다. 평소 사형제도를 찬성하거나 부정하지는 않지만, 요즘의 뉴스를 보면서 사형제도 부활을 내심바라고 있었는데 야마이와 주인공을 보면서 과연 누가 사형수를 누가 만들었는가 되돌아보게 된다. 불안하기만한 어린시절 그들에게 돌파구는 자살과 반항뿐이었으리라.

 

주인공들의 시작은 하나같이 제목처럼 모두 다 우울했었다. 부모에게 버림받고 체벌등으로 갖은 상처를 받았지만 자신의 모습을 다른 누군가로부터 발견하고 스스로 변해간다. 타인의 삶에서 나의 또 다른 삶을 발견한다는 것은 좋지 않은 기억의 회상이지만 자신을 돌아보는 기회가 될것이다. 짧은 분량의 책, 쉽게 책장을 넘어가지만 그저 쉽지 않은 시간이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