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고 싶은 텔레비전 궁금한 방송국 - 세계의 텔레비전과 생생한 방송 역사 상수리 호기심 도서관 11
소피 바흐만 외 지음, 김미겸 옮김, 토니두란 그림 / 상수리 / 2010년 1월
장바구니담기


어른 아이 할 것 없이 누구나 텔레비전을 좋아하고 즐긴다.

TV속에서 좋아하는 연예인을 만나고 한번도 가보지 못한 곳을 대신 가보고, 남은 시간을 여유롭게 즐기는 등 TV는 이제 삶에 있어서 없어서는 안되는 존재가 되어버렸다. TV는 언제 누가 만들었을까. 정확하게 TV를 누가 만들었는지는 모른다고 한다.



아이들의 호기심을 콕콕 집어서 알려주는 상수리 호기심 도서관 11번째 책은 아이들이 정말 궁금해하는 방송국과 텔레비전의 이야기이다.

텔레비전의 역사, 오늘날의 텔레비전, 어떻게 방송을 만드는지, 기타 텔레비전의 모든것이 책속에 담겨 있어서

텔레비전과 TV의 옛날과 현재를 한권의 책으로 만날 수 있다.



어린시절 할아버지댁에 있었던 드르륵 문을 열면 나왔던 텔레비전에서부터 지금의 디지털 텔레비전까지 다양한 텔레비전의 재미나는 이야기가 가득하다. 텔레비전이라는 이름은 멀리를 뜻하는 그리스어 "텔레와" 라틴어로 "보다"를 뜻하는 비전을 합성해서 만든 말이라고 한다. 텔레비전은 바보상자라고도 하는 나쁜 뜻도 담겨있지만, 잘 활용하면 삶의 질을 높이는 아주 좋은 현대발명품이라 할 수 있다.



영상을 재생하기 위해서 작은 구멍이 뚫린 원판을 회전시켜서 전송하는 기계식 텔레비전에서 이제는 어디든지 들고 다니면서 볼 수 있는 DMB까지 텔레비전과 방송은 날로 진화되고 있는데, 멀리 있는 방송국에서 TV방송을 어떻게 멀리 있는 우리가 볼 수 있을까 하는 궁금점에서부터 세계의 TV, 현재 우리나라의 텔레비전의 기술의 현재등 많은 내용을 익힐 수 있다.



TV와 방송에 관한 모든 호기심이 책 속에 담겨 있어, 텔레비전의 만화 프로에 푹 빠져있는 아이들에게 자신이 보고 있는 방송이 어떤 과정을 통해 볼 수 있는 지 알려준다면 더욱 더 즐거워 할 것 같다.


[ 책의 활용]

- 아마도 가장 멋진 체험은 방송국을 직접 방문하거나 텔레비전 역사관을 방문하는 것이겠지만, 현실적인 여건은 안되기에

집에서 재활용 박스를 이용한 텔레비전을 만들어 보기로 했다.



- 재료 : 색종이, 재활용박스, 풀, 가위, 테이프, 호일 약간, 뚜껑 2개



1. 먼저 박스를 화면 크기처럼 오리고 주변에 색종이를 붙여 텔레비전을 꾸민다.

(방학동안 만들기를 한번도 안해서 그런지 정말 몰입하여 즐기는 아이들을 볼 수 있었다)


2. 외관이 완성되었다면, 호일을 감아 안테나를 만든다.

그리고 각자의 스타일대로 리모컨을 만들어 본다.


3. 각자 스타일대로 텔레비전 방송을 연출하면서 놀아보면 끝!!!!!

※ 텔레비전 연출해보기 ※



1. 뉴스 하는 건희

사투리로 뉴스 하는 건희때문에 정말 웃었답니다. 제대로 된 대본없이 갑작스런 연출이라. 어색하기는 하지만, 직접 날씨 앵커가 되어보았습니다.
2. 음악프로.....

오빠가 뉴스를 한다면 채빈이는 음악프로입니다.

노래를 해기로 했답니다. 동영상을 제대로 편집해야하는데 실력이 부족하여!!!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