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 소리 우리 음악 - 김명곤 아저씨가 들려주는, 문화체육관광부 우수도서(세종도서) 상수리 호기심 도서관 9
김명곤 지음, 이인숙 그림 / 상수리 / 2009년 10월
절판


우리 소리, 우리음악이라면 제일 먼저 생각나는 것은 기뻐서 노래를 부르고, 슬퍼서 노래를 부르는 할머니 할아버지의 모습들이다. 어린 시절 무슨날만 되면 괭과리와 장구등을 둘러 맨 동네 아저씨들의 흥에 맞추어 춤을 추며 동네 잔치를 하기도 했는데, 요즘은 정말 보기 드믄 일이 되어 버렸다. 이렇듯 우리 소리, 음악은 우리의 삶 가장 기본이 되며 역사와 민족의 모습의 일부이다.


평소 대중음악에는 관심이 많았지만, 우리소리, 우리음악에는 그다지 관심이 없었다. 학창시절 교과서에 나오는 음악정도가 아는 내용의 전부였는데, 책을 읽으면서 그동안 관심이 없었던 우리음악이 얼마나 우리의 삶 깊은 곳에서 부터 출발했는지를 알 수 있는 계기가 되었다.

책속에 들어있는 음악 CD속에는 우리 나라 시대별 음악의 역사를 알 수 있다. 굿, 거문고 독주, 대금, 궁중음악, 시조와 민요, 판소리와 사물놀이등 12개의 음악이 선곡되어 있어 한권의 책이 집약된 듯한 느낌을 받는다.




고대에도 음악이 있었을까. 정답은 그렇다고 한다. 사냥을 하고 이러저리 옮겨 다니는 유목생활을 하면서도 하늘에 기원을 하고, 안전을 기원했는데, 그것이 바로 굿이다. 굿을 하면서 춤과 노래를 하고 마을 축제를 하고 사람들의 단합을 꾀했을테다. 우리나라 최초의 악기로 발견된 것은 새의 다리로 만든 것으로 기원전 2000년쯤에 발견되었다고 한다.

옛 음악의 변천사는 벽화와 유물에서 발견될 수 있는데, 또한 삼국유사와 삼국사기에서도 음악속의 역사를 알 수 있다고 한다. 왕산악이 만들었다고 알고 있는 거문고가 고구려 대표 악기이다. 거문고와 관련되 재미있는 이야기는 삼국사기에 실려있는데, 왜 거문고가 또 다른이름인 현금으로 불리는 지 알 수 있다. 일본에 음악을 전해 준 백제, 향가의 대표나라 신라, 구지가의 나라 가야 그리고 가야금등의 음악과 관련된 역사를 알게 된다.

불교와도 음악은 뗄 수가 없다. 통일 신라 신문왕은 대나무를 베어 악기를 만들었고 그것이 만파식적, 요즘의 대금이라고 한다. 그 밖에도 다양한 악기가 사용되기도 했지만, 불교가 가장 번성된 나라였기에 범패(불교 음악 중 노래)가 인도로 부터 전래되었다고 한다. 원효스님이 만든 독창적인 불교노래 무애가로 불교의 가르침을 알리기도 했다고 한다.

고려시대는 새로운 향악인 고려가요가 대표적인 예이다. 교과서에 많이 나왔던 가시리와 청산별곡등의 고려 후기 가요의 대표적이다. 궁중음악의 본격적으로 발달된 시기라고한다.

오랜 역사만큼 조선시대에서는 음악과 문화의 발달이 최고조에 이른다. 고려시대 아악을 새롭게 정리했고, 세종대왕은 정간보라는 악보를 만들었고 덕분에 옛 음악이 지금에 전해지는 것이라고 한다. ㄱ자 모양을 한 편경, 합주곡의 형태인 대취타, 최초의 음악책 악학궤범 또한 조선시대 음악 역사의 중요한 일부이다. 조선후기에 들어오면서 궁중음악은 쇠퇴하고 새로운 음악형태인 풍류, 가곡, 시조, 산조 지금도 많은 노래가 내려오고 있는 민요등이 생겼고 중요한 음악의 역사로 기록된다.



또한 판소리라는 민족예술이 새롭게 생겨났고, 다양한 몸짓과 말소리, 음악으로 많은 사람들에게 사랑을 받아왔으나 일제 강점기에 접어들면서 우리 음악이 조금 쇠퇴하고 서양음악이 차츰 대중들에게 사랑을 받기 시작했다고 한다.


책 한권으로 어려워했던 한국 음악사의 모든 것을 알게 된 것 같다. 전혀 몰랐던 고대음악 그리고 음악과 연계된 많은 역사속의 이야기들이 지루하게만 느껴졌던 음악이 새로운 즐거움으로 출발했고, 지금까지 전해 내려오는 음악도 있지만 사라진 우리 음악 또한 우리가 지나온 삶의 일부임을 새삼 깨닫는다.

[ 독후 활동]

아직은 일곱살인 아이에게 음악의 역사는 조금 어렵지 않을까 해서 악기 사전을 만들어 보기로 했다.


1. 사용을 한 지난 탁상달력으로 미니북형태의 사전을 만들기위해 달력 받침부분을 자르고,

2. 악기 사전의 내지양식을 붙이고,(간단하게 악기이름, 사진, 특징만 기록)

3. 인터넷에서 검색된 악기 사진을 붙인다.


오리고 붙이는 걸 좋아하는 아이기에 오리고 붙이는 것은 직접하게 하고, 내지를 붙이는 것만 도와주면서 활동을 함

4. 악기의 특징은 검색으로 직접기록하도록 함.
가장 간단히 검색된 특징이지만, 직접 기록함으로 악기의 이름과 사진, 특징과의 매치가 되어 학습에도 효과가 있음. 간단한 독후활동이지만 한권의 또 다른 미니북의 탄생, 책을 읽는 즐거움도 컸지만 아이들과 함께 한 독후 활동 역시 유익한 시간이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