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지각대장 존 ㅣ 비룡소의 그림동화 6
존 버닝햄 지음, 박상희 옮김 / 비룡소 / 1999년 4월
평점 :
물이 뚝뚝 떨어진 작은 아이 반면에 아이의 몇 배나 되는 선생님 눈을 커다랗게 뜨고 아이가 무엇을 이야기하는지 듣는 것처럼 보인다. 사실은 듣는 것이 아니라 아이를 혼내고 있는 것이다. 이유는 바로 주인공 존이 지각을 했다는 이유인 것이다. 첫 페이지를 넘기면 빽빽하게 써 놓은 존의 반성문이 보인다. 첫 느낌은 옛날 학창 시절 선생님께서 내어주신 받아쓰기를 틀렸을 때 내어주는 숙제 같은 느낌을 받았다. 하지만 '거짓말을 하지 않겠습니다'라는 반성의 문구다. 존은 지각을 해서 이렇게 벌을 받은 것일까. 궁금해 하며 책장을 넘겼다.
작가 존 버닝햄 책은 조금은 단순한 듯 하지만 아이들의 입장에서 생각하고 그려내는 특징을 지니고 있다. 내용 또한 유머러스하며 뛰어난 상상력의 세계로 아이들을 안내한다. <검피아저씨의 뱃놀이><검피아저씨의 드라이브><야! 우리 기차에서 내려>에 이은 네 번째 만나는 책이 바로 <지각대장 존>이다. 아이들이 왜 존 버닝햄의 책을 좋아하게 되는지는 앞서 말한 3권의 책만으로도 충분하게 알 수 있었지만, <지각대장 존>을 통해 최고의 작가임을 다시 한번 알게 되었다.
여느 날과 마찬가지로 학교를 가기 위해 나선 존은 하수구에서 악어를 만난다. 책가방을 물고 놓아주지 않자 장갑을 휘익 던져 가방을 빼앗아 들고 학교로 달려간다. 하지만 악어 때문에 지각을 하고 만 것이다. 선생님께 사유를 이야기하지만 선생님은 믿지 않는다. "악어가 나온다는 거짓말을 하지 않겠습니다. 또 다시는 장갑을 잃어버리지 않겠습니다"라는 단어를 300번 반성문을 쓰라는 말뿐이다.
왜 선생님은 존의 말을 믿지 않았을까. 아마 내가 선생님이었다면 사실 나도 믿지 않았을 것이다.. 얼토당토 않는 악어의 등장 어느 선생님이라도 믿지 않고 오히려 존에게 거짓말을 한다며 혼을 내었을지 모른다. 존은 다음날 그 다음날도 지각을 했다. 사자를 만났다, 커다란 파도를 만났다고 이야기하지만 선생님 역시 믿지 않는다. 교실에 남아 역시나 반성문을 쓸 뿐이다.
만약 존이 말한 지각 사유를 지금의 아이들이 선생님께 말을 했다면 어땠을까 하는 호기심이 일었다. 그 호기심도 잠시 아마 아이들의 놀림감이 되었을 것이다. 존의 선생님은 존의 옷이 왜 찢겨졌는지, 장갑을 왜 잃어버렸는지, 물이 뚝뚝 흐르는 옷을 입은 아이에게 거짓말만 한다며 무조건 반성문을 쓰라고 한다. 반성문을 수백번 쓴다고 잘못된 행동이 고쳐진다고 믿어서일까. 억압적이고 권위적인 교육현실을 존과 선생님의 이야기로 비판하고 있다.
그림책도 반전이 있는 법 마지막에는 존과 선생님의 입장이 바뀐다. 커다란 털복숭이 고릴라에 잡힌 선생님이 통쾌하기도 하다. 존 역시 고릴라 따위는 살지 않아요라며 선생님의 말을 무시한 체 학교를 나선다.
가끔씩 아이들이 엉뚱한 말을 전할 때 전혀 믿지 못한 체 "뭔 소리야" "웃기지마"등등 아이들의 말에 귀를 기울이지 않았다. 억울함을 호소하는 아이를 뒤로 한 체 마냥 혼내기만 했었는데, 지각대장 존에 나오는 선생님이 혹시 나의 모습은 아닌지 생각 든다. 존 버닝햄 작가는 책을 통해서 아이와 부모, 그리고 선생님의 갈등의 문제의 원인은 아이가 아니라 아이의 말을 제대로 듣지 않는 선생님과 부모에 있다는 것을 이야기하고 있는 것 같다.
고개를 푹 숙인 체 학교를 걸어가는 아이들을 보면 학교가 재미있는 곳이 아님을 직감할 수 있다. 지금의 똑같은 일상이 아니라 등교 길에 존과 같은 일이 벌어진다면 학교 가는 일이 조금은 특별해질까. 거짓말도 누군가 상상이라는 말을 들은 적이 있다. 아이들의 엉뚱함을 늘 거짓말로 치부하기 보다는 아이들의 상상력과 자존감을 위해 아이들의 말에 귀를 기울어야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