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린시절부터 시를 어려워했다. 단지 암송을 하고 각 단어마다 뜻을 풀이해야만 하는 등의 시만 배워서 그럴지도 모르겠다. 지금에와서 생각해 보면 시는 어렵게 생각해야 할 내용이 아닌 것 같다. 김용택 선생님의 말씀 처럼 시 속에는 우리가 사는 아름다운 세상, 슬픈 세상, 아픈세상 그리고 희망이 모두 담겨 있으니까 시는 우리의 삶 그 자체 인 것 이다. 섬진강 주변의 작은 학교에서 교직생활을 오래 하셔서 그런지 유독 아이들이 사랑이 독특하신 것 같다. 어린이들을 위한 책들도 많이 출간하시고 글 속에서 아이들을 생각하는 마음이 고스란히 느껴진다. 책가방 동시는 저학년 / 중학년 / 고학년 부분으로 3으로 이루어져 있다. 아이들의 수준에 맞추어 우리가 많이 알고 있는 동시에서부터 처음 아는 동시들이 가득하다. 각 동시맏 선생님이 이야기를 따로 들려주시기에 좀 더 편안한 동시 읽기가 될 수 있었다. 마지막 부분에는 수록된 시인 소개도 잊지 않아 많은 도움을 받았다. 동시를 하나하나 읽다보면 동심의 세계로 돌아간다. 조그만 고사리 손으로 나무가지로 꺽어든 아이의 모습으로 되돌아 가는 것 같은 느낌이 든다. 어린이들 뿐아니라 동시는 어른들도 기꺼이 읽어주어야 할 것 같다. 책속에 많은 시가 수록 되어 있지만, 짧지만 가장 인상깊은 동시는 <봄눈>입니다. 봄눈 유희윤 "금방 가야 할 걸 뭐 하러 내려왔니?" 우리 엄마는 시골에 홀로 계신 외할머니의 봄눈입니다. 눈물 글썽한 봄눈입니다. 부모가 되어봐야 부모의 입장을 조금이해한다고 하지요?? 보고 싶지만 금방 올라가야할 딸보다 뭐 하러 내려왔니 말하는 외할머니의 사랑이 봄눈처럼 눈물을 흐르게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