죽음의 밥상 - 농장에서 식탁까지, 그 길고 잔인한 여정에 대한 논쟁적 탐험
피터 싱어.짐 메이슨 지음, 함규진 옮김 / 산책자 / 2008년 4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마냥 행복하기만 했던 식사 시간이 이제는 죽음까지 생각하는 위험한 시간이 되어버렸다. 살기 위해 음식을 섭취하고 있는데 우리는 음식을 먹으면서 죽음에 이른다고 하니 정말 답답하다. 연일 미국산 소고기 수입반대를 한 목소리로 외치고 있는데 <죽음의 밥상>을 읽으면서 너무도 놀래 과연 어떤 것을 먹어야 하는 것일까 마트가는 것도 식당에서 젓가락을 드는것조차 위험스럽게 다가온다.

 

철학자와 농부의 만남, 저자들의 독특한 만남이지만 그들의 만남은 책을 읽는 독자들에게 먹거리의 절실함, 위기감을 고스란히 우리에게 전해주고 있다. 먹거리와 윤리는 전혀 상관관계가 없을 것 같았는데 세 부류 가족의 먹거리를 통해 윤리적인 문제를 함께 논의한다.

 

보통 현대인의 가족, 그리고 양심적인 잡식주의자, 그리고 채식주의 가족 세부류의 가족중에 어느 부류에 속하는가.

자연스럽게 주말이면 마트를 들러 카트 한가득을 먹을거리로 채워오는 많은 부류의 가족이 그렇듯 우리의 모습도 그렇다. 시간절약, 돈 절약등등의 이유로 마트를 찾고 있기는 하지만 그 속의 먹거리 하나하나 쫓아가다 보면 정말 놀라운 사실들에 추춤해진다.

 

좁은 공간에서 길러지고 있는 수많은 가축들 비정상적인 동물들을 도축되어 신성한 밥상위로 오르고 있는 우리의 현실, 과연 우리는 제대로 된 먹거리를 하고 있는 것일까. 인간은 잡식동물이다라고 하지만 잡식동물이 과연 좋기만 하지는 않은 것 같다. 보기 좋게 포장되어 있는 육류와 채소류 많은 음식물이 우리의 밥상에 올라오기 까지는 어떤 과정을 거치는지 사람들은 잘 모르고 있다. 흔히 사람들이 하는말이 자기네 공장에서 만드는 제품은 절대 안쓰고 안먹는다!!라고 하는 이유가 다 그것일테다.

 

냉장고 속에 들어있는 육가공식품과 육류 그리고 야채류를 보면서 과연 정당한 먹거리인가 고민하게 된다. 도대체 무엇을 먹어야 하는가. 조금 더 싼 먹거리를 찾는 서민들에게 베건(채식주의자)가 되는 것은 너무도 어려운 일이다. 공장식 농장에 대한 대안이 필요하지만 그것은 많은 사람들의 노력이 있어야만 가능한 것이다. 먹거리에 대한 많은 생각의 거리를 주는 책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