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로봇 - 초등 교과서 속 과학 먼저 알기 ㅣ 100가지 과학 1000가지 상식 3
신경순 그림, 판도라 글, 오준호 감수 / 세상모든책 / 2008년 3월
평점 :
어린시절 로봇이 나오는 영화를 동생과 나는 아주 광적으로 좋아했다. 노래를 종일 부르고 그림을 그리고 마치 나의 실생활에 있는 것처럼 느끼기도 했다. 그렇듯 롯봇은 언제나 처럼 신화나 상상속의 존재로 여겨왔었다. 하지만 그것마저도 상상속의 세계가 되어버리고 인간의 모습과 흡사하게 생긴 로봇이 생기고 인간이 하지 못할 많은 일들을 실제 로봇이 대신해준다고 하니 신기할뿐이다.
아이들은 로봇을 너무도 좋아한다. 큰아이도 남자라 그런지 로봇이라, 만화든 장난감이든 구분하지 않고 열광한다. 가끔 청소나 숙제등이 하기 싫을때 대신 해주는 로봇이 있었으면 정말 좋겠다. 그런생각도 했었는데 과학의 발전으로 그 상상이 이제는 조금씩 현실의 세계로 발디디고 있다.
많이들 편리한 생활에 로봇이 필요하다고 생각하고 있지만, 실제로 로봇은 더 많은 곳에서 쓰일 수 있다. 아마 인간이 하지 못하는 일마저도 할지 모른다. 그러기 위해서는 우리는 로봇에 대해 잘 알아야할 한다. 비록 영화였지만 윌스미스주연의 "아이로봇"을 보면 인간을 위해 만들어진 로봇이 오히려 인간을 해를 끼치는 음모마저 벌이게 되는데, 그런 위험을 없으리라 보장은 못하지만 아마 로봇을 알아야 하는 이유는 우리의 생활이 좀 더 편리해지리라는 것은 확신하기 때문이다.
100가지 과학 시리즈를 다양하게 만나왔지만 그중에 아이가 가장 좋아했던 책이 아닌가 생각이 든다. 역시 남자아이는 로봇에 대한 호기심이 남다르다는 것을 느끼기도 했다. 로봇은 언제 어디서 최초로 만들어졌는지, 로봇의 역사, 재질, 뇌가 있나요? 등등 아주 재미있는 질문들로 엄선된 100가지 질문들이다. 이제껏 상상해 보지 못한 내용들도 가득했다.
아마도 영화에서 나온 로봇이야기가 가장 재미있었던 것 같다. 영화의 소재도 과학의 일부라는 생각은 접어둔체 흥미로운 생각만을 가지고 영화를 봐왔었는데, 영화속 로봇을 사진으로 보고, 다른 이야기도 함께 들려주어 무척이나 흥미로웠다. 흥미로운 소재인 로봇을 단지 딱딱하게만 설명하고 있었다면 아마도 정말 지루한 책이 되었을지 모른다. 중간중간 그려진 삽화와 실제 사진등은 과학속의 로봇이 실생활이나 우리주변에 얼마나 속해 있는지 그것이 또 우리에게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도움을 주고 있다.
아이들책이라 내가 알고 있는 내용이 많으리라 생각하기도 했는데, 그동안 몰랐던 많은 이야기들을 들려주어 나에게, 아이들에게 무척이나 유용하고 흥미로운 책이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