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이들의 병이 낫지 않는다
테라사와 마사히코 지음, 고희선 옮김, 김미나 감수 / 시금치 / 2007년 7월
평점 :
구판절판


 
첫애를 키우면서는 조금만 열이 나면 종합병원 응급실행을 몇번이나 했다. 실상 가보면 간단한 해열주사나 아니면 관장을 하고 허무한 채 집으로 돌아왔는데, 둘째가 태어나면서 부터는 응급실을 아직 가보지 않았다. 뭐 그러려니. 이러다가도 금방 나을꺼야 하면서 좀 느긋해졌다고 할 수 있다. 첫애는 수 없이 병원에 들락거렸다. 많이 아푸지도 않는데도 말이다.

<아이들의 병이 낫지 않는다>라는 책을 읽으면서 정말 무식 한 엄마였음을 알게 되었다. 아이가 아프다고 무조건 병원에 데려가는게 최선이 아니라 다른 최선의 방법이 있었음을 알게 되었으니 말이다.

 

병원에 가면 늘 전혀 모르는 듯한 약들로 처방해준다. 항생제가 들어가는지 아닌지. 괜찮으면 오지 말고 아프면 또 오라고 한다.

매번 어쩔수 없이 가면서도 늘 1분도 안되는 진료시간에 불만만 가득하다. 최근 아이들에 대한 항생제 투여가 어른의 몇배가 되며 심각한 수준이라는 기사를 본 적이 있다. 항생제!!! 우리 아이들도 감기로 인해 수많은 항생제를 먹여왔다. 항생제가 만병통치약이 아니지만 그대로 아이의 병이 낫기를 바라는 마음에 의사가 처방해준 대로 꼭꼭 먹이려고 했는데, 어른보다 더 많이 먹여 아이들의 병을 오히려 더 키웠다고 하니 허탈할 뿐이다.

 

감기에 걸려 항생제를 며칠 먹여보나 또 며칠뒤에는 다시금 감기에 걸려, 우리애는 왜 이렇게 감기에 자주 걸리는 거야. 그러면서 또 다른 병원을 찾아든다. 그러면서 또 다른 균들에 대한 항생제에 대한 내성만 키웠던 것이다.

<아이들의 병이 낫지 않는다>책에서는 항생제가 얼마나 필요한가? 병균들의 항생제에 대한 내성이 키워지게 되면 정작 필요할때는 병이 오히려 더 낫기 힘들다고 한다. 부모로서 변명아닌 변명을 하자면 우리 부모는 의사들이 처방해준대로만 먹여왔다고 하소연 하고 싶다. 

 

실제로 항생제가 필요한 감기 증상은 5%정도도 안된다고 한다. 왠만한 병은 항생제가 필요가 없는 것이다. 또한 우리 몸의 자체에서 면역을 위한 기능을 하고 있다며 쓸데 없는 항생제 투여를 자제하라고 하면서 가장 최선의 치료는 충분한 수면과 충분한 휴식이라고 한다. 또한 백신보다 강력한 예방법은 손 씻기와 가글링이라고 말한다. 보통 향균비누를 쓰는데 향균비누조차 내성을 키우기 때문에 일반 비누를 사용하라고 한다.

 

얼마전 아이가 감기에 자주 걸리는 거 같아 더 강한 약을 달라고 의사에게 말한 적이 있는데 책을 읽고서는 무척이나 뜨끔했다. 오히려 내 아이의 병을 내가 키우는 꼴이 되었으니 말이다. 항생제!! 인료의 가장 큰 명약이라고 할 수 있지만,  잘 쓰면 명약, 잘 못쓰면 독약이 되는 것이다. 항생제! 내 아이의 건강을 책임지는 부모 역시 꼭 알아야 될 상식이 아닌가 생각든다. 이제부터 의사에게 그 책임을 돌리지 말고 현명한 환자들이 되어보자.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