열살전에 사람됨을 가르쳐라
문용린 지음 / 갤리온 / 2007년 8월
평점 :
품절


 
인터넷 서점을 구경하다 "열살 전에 사람됨을 가르쳐라"라는 제목이 눈에 들었다.

"사람됨"을 열살 이전에 가르쳐라고 거침없이 제목으로 정해놓고 어떤 이야기를 부모들에게 알려주는지 궁금했다.

 

어린시절 부모나 주변 어른들에게 "먼저 사람이 되어야 해"라는 말을 자주 들으며 자라왔다.

그시절에는 어떤 뜻의 말인지 몰랐다. 왜? 지금 나는 사람인데 라고 속으로 만 생각했었던거 같다. 

어린시절을 보내고 세월이 흘러 어느 덧 성인이 된 지금 두아이의 부모가 되어 있다.

 

지금의 나는 어떠한가. 아이의 사람됨을 먼저 가르치고 있는지 아니면 다른면에 힘쓰고 있는지 반성하게 한다.

물론 나도 다른 부모들처럼 글자 한자, 숫자. 영어 하나 더 깨우치게 하려고 애를 쓰고 있다. 얼마나 잘못되고 있는 건지

책을 읽기전에는 많이 깨닫지 못했다.

 

"도덕 능력이 떨어지는 아이는 10년 뒤 결코 살아남을 수 없다"라고 표지속에 글귀가 있는데, 처음에는 이해 할 수 없었다.

어떤의미에서 도덕능력을 중시 하는 건지...부모들은 모두들 자녀의 학습능력에 모두 힘쓰고 있다. 아이들이 자라면 모두들

어느정도의 궤도에 모든 아이들이 학습 기량을 갖추고 능력을 지니고 있을 것이다. 그 때는 나만의 경쟁력이 바로 "도덕적인 능력. 즉 사람됨"이라고 한다. 이 글을 읽었을 때 나는 무릎을 딱 쳤다. 맞아. 맞는말이야.

 

<부모들이 반드시 기억해야 할 쓴소리>의 저자 문용린 교수는 부모들에게 조기 교육, 조기유학, 영재. 학원. 일류대학 이런 단어들에 휩쓸리지 말고 자녀들의 인격과 도덕을 갖춘 아이 키우기에 덤벼들라고 한다.

IQ. EQ. CQ에 이어 이제는 도적지능 MQ에 주목하라고 한다.

부모에게 효도하고, 형제간의 우애있으며, 인간관계, 또한 행복한 가정을 만드는것. 이 모든것을 가능하게 하는 것은 공부실력이 아니라 인격과 도적적 능력 즉, 도덕지능인 것이다.

 

요즘의 아이들의  형제들은 하나 아니면 둘 이기에 자신만을 생각하고, 부모들이 워낙에 오냐 오냐 키우다 보니 남을 위한 배려라든지, 세상을 바로 보는 능력과, 세상은 더불어 살아가는 것이라는 것을 이해하지 않는다. 식당이나 공공장소에서 아이들의 행동 하나만 봐도 알 수 있다. 시끄럽게 떠드는 아이, 그것을 모른체 하는 부모, 눈쌀을 찌푸리게 만든적이 가끔있다. 모든이가 그렇다는 것은 물론 아니다.

 

총 5장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가장 관심있게 본 내용은 3장이다. 아이들의 행동에 따른 부모들의 행동이다.

상당부분 내가 하는 행복의 반대여서 많은 부분을 반성했다. 또한 연령별로 도덕성을 키우는 마지막 장도 인상깊었다.

부모가 아이게게 줄 수 있는 가장 큰 선물은 바로 "사람됨"이다 라는 것을 강조하며 또한 10년 뒤 아이가 반드시 갖춰야할 5가지

기본능력은 공감.감정조절력. 분별력. 사랑. 책임감이라고 얘기한다.

 

10년뒤에 내 아이의 가장 큰 경쟁력 "사람됨"

문용린 교수가 말하는 날카로운 일침에 앞으로의 또다른 계획이 생겨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