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부모가 된다는 것 - 아이 교육을 위한 부모의 작은 철학
볼프강 펠처 지음, 도현정 옮김 / 지향 / 2007년 7월
평점 :
품절
"나는 아이를 키우면서 아이와 부딪치는 문제를 풀기 위해 사고(思考)하게 되었고,해답을 찾는 과정에서 나 자신과 만나게 되었습니다. 그리고 아이의 모습에서 나 자신을 발견하게 되었습니다."
----- 책머리에서-----
"당신의 자녀는 당신의 자녀가 아닙니다.
그들은 자신의 삶을 쫓아 이 세상에 온 그리움의 아들과 딸입니다." (칼릴 지브란)
부모가 되는 시험이 있으면 어땠을까 하는 생각을 가끔 한다. 만약 시험을 치른다면 분명 낙제 점수를 받으리라 생각하면서...
어떻게 하면 낙제점수를 면할까 싶어 수많은 육아책을 탐독한다. 하지만 언제나 실패다.
아이들을 야단치는 고함소리는 대문앞을 넘나들고, 아이들의 울음소리는 저만치 노랫소리처럼 들린다.
처음 큰애를 임신하고 이제 부모가 된다고 생각했을때 많이 부담스러웠었다. 어쩜 내가 과연 부모가 될 자격이나 있을까. 그저 결혼하고 아이가 생기고 자연스레 부모가 되었다. 부모님의 도움을 받는 입장이었다가 부모라는 이름으로 내가 아이에게 베푸는 입장으로 바뀌었으며 기존과는 전혀 다른 생활을 해야했기에 큰애를 낳고서는 많이 힘들었다
인간은 적응하는 동물이라고 했던가 그럭저럭 시간이 흘렀다. 그간 둘째도 태어났으니..
요즘 들어 부모가 된다는 것에 대한 어려움을 새삼스레 더 느낀다. 그저 먹을것만 챙겨주면 되었던 아기에서 어느덧 자아를 갖고 스스로 생각하는 나이가 되다보니 사사건건 부딪치는 일이 더 많아 진것이다. 그때마다 나만의 잣대로 아이를 야단치고, 울리고, 그러면서 후회하고 부모란 쉽게 되는 것이 아닌가보다.
[부모가 된다는 것]의 저자 볼프강 펠처는 독일의 네 아이의 아버지이자 작가이자 교육자이다. 읽는동안 살기 좋은 나라 독일에서도 부모의 역할은 똑 같았다. 잘살든 못살든 부모란 고귀한 역할이었다.
책에서는 보통의 육아서와는 많이 틀렸다. 보통의 육아서는 아이가 행동에는 이유가 있으며, 그에 따른 부모의 행동을 고치고 부모의 행동을 고치라고만 얘기를 한다.
모든 원인은 부모에게 있다고...그저 모든 부모가 느끼고 고민하는 부분을 논리있게 철학적인 말들과 함께 정리해 놓았다.
사실 육아는 해답이 없다. 그것을 부모들은 모두 알고는 있지만 마치 100%의 정확한 답을 찾으려 노력한다. 그 노력이 조금 헛되었다며 수많은 자책과 후회를 하면서 말이다.
요즘은 육아. 가사. 직장일들을 병행하는 부모들이 많아. 어느것하나 완벽하지 못해 많은 자책을 하는 모습이 진정 우리의 모습이다. 하지만 저자는 이런 잘못이나 고민을 부정적으로 보지 않고 우리는 신처럼 완벽하지 않고 실수투성이 인간임을 인정하는 "의식있는 부모"가 되기를 바란다고 얘기한다.
책을 읽는 동안 나의 육아태도에 대해서 반성하는 것보다는 "나자신"을 돌아보는 시간이
많았으며, 중간중간 책속에 삽입 된 문학과 철학또한 상당부분 공감가는 내용들로 가득찼다.
* 부모가 된다는 것, 그 자체가 행복이 아닙니다.
그것은 행복으로 만들어 가는 것이 우리 부모가 할 일 입니다" p19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