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왕비실록 - 숨겨진 절반의 역사
신명호 지음 / 역사의아침(위즈덤하우스) / 2007년 5월
평점 :
품절


 
인간의 절반은 여인이다. 조선의 상황이라 딱히 틀리지 않았을 것이다. 남존여비사상이라 더 많았으려나.조선 역사의 주인공들은 대부분 남자들이 차지하고 있다. 남자들의 이야기속에서 간간히 내비치는 여인들의 이야기만 간혹 있을뿐. 이책은 조선의 국모들의 삶을 이야기한다.  조선의 국모들의 이야기를 통해숨겨진  절반의 역사를 책속에서 찾을 수 있을까

 

물론 우리는 조선 여인의 역사를 국민 모두가 조금씩이나마 알고는 있다. 여인천하. 장희빈등 드라마를 통해 조금씩 접했기에 비록 허구속의 이야기일지라도..

 

[조선왕비실록]책속에는 7명의 왕비들의 삶을 다루고 있다.

명성황후나 혜경궁 홍씨정도는 약간 알고 있었는데 나머지 왕비들은 새롭게 알게 된 이야기들로 가득하다.

 

500년 조선의 역사 중 왕비가 어디 7명 뿐이었겠냐마는 7명의 그녀들의 삶역시 보통은 넘는다. 정치적인 야욕으로 희생되기도 했고, 남편을 버리고 시아버지와 대립관계도 있어야하는 위태로운 자리였다.

 

또한 죽어서까지 철처히 버려지기 까지 했으며, 강제로 자리에서도 쫓겨 나는 그녀들의 삶을 엿보는 것 조차 조마조마 하다.

그녀들의 이야기는 조선왕조실록에는 과연 몇줄이나 있을까

500년의 화려함 속에 짧은 몇줄로 자리 잡은 그녀들의 발자취를 하나하나 알아가고 확인하는 과정이 신비롭고 새롭다.

 

책분량이 한정되어 많은 왕비들의 삶을 다룰 수 없어 아쉬웠다고 하는데 나또한 그렇다. 분량만 허락한다면 좀 더 많은 국모들의 이야기가 궁금하다.

왕비가 되기전, 되고 난 후 그녀들의 가정환경, 왕비로 간택되는 과정등은 흥미롭다.

 

궁중의상의 화려함과 웅장함이 가득한 것은 그들 내면의 어려움과 힘듦을 치마속 한곳에 깊숙히 숨겨놓고 보여주기 싫어서 많은 화려함으로 대신 하지 않았을까.

조선의 여인내의 삶이란 자기 주체적인 것보다는 남편에 의해 좌지우지 되는 일들이 많아. 흥하고 망함을 스스로 제대로 선택할 수 없었으리라..

왕위유지지속이나 자식의 왕위계승을 최고의 목표로 삼고 위태로운 자리를 지키려 하였으니 속맘을 알수는 없으나 애처로움과 안타까움이 가득하다.

 

그녀들의 일부의 삶을 엿보고서는 "재물과 권력"에 아웅다웅하는 우리들의 모습을 조금이나마 반성 할 수 있었던 기회가 되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