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 아이를 위한 사랑의 기술 - 감정 코치
존 가트맨 지음, 남은영 감수 / 한국경제신문 / 2007년 4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감정은 다 받아주고 행동은 잘 고쳐주라"

 

내 아이를 사랑 하지 않는다고 말하는 부모들은 아마 없을것이다.

내사랑을 아이에게 어떻게 표현 하느냐가 문제인 것이다.

부모들도 아이 때문에 즐거운 일, 화나는 일, 짜증나는 일들도 있기 마련이다. "부모 감정이 격해 졌을때

자녀를 어떻게 대할 것인가"하는 문제는 정말 중요하다. 수 많은 육아서들이 아이와의 눈높이를 맞추라고

한다. 아이들의 감정을 무시한채 눈높이만 맞추어 대화한다고 다 되는 것은 아니다.

 

책에서 말하는 감정코치란 자녀의 감정에 관여하는 부모들을 말한다.

아이의 분노. 슬품. 두려움 이라는 감정을 부모들이 어떻게 코치해주어야 아이들이 긍정적인 모습으로

참된 인생을 알고 원할한 사회생활을 할 수 있는가 하는 것이다.

 

<감정코치의 4가지> 

1. 축소 전환형 부모

   자녀의 감정을 무시하거나 대수롭지 않게 여기는 부모를 말한다.   

2. 억압형 부모

  자녀의 감정을 비판하고 잘못되었다며 꾸짖는 부모

3. 방임형 부모

  자녀의 감정은 인정하지만 아이의 행동방향을 제시하지 못하는 부모

4. 감정고치형 부모

   자녀의 감정을 인정하여 아이의 행동을 좋은 방향으로 이끌어주거나 방법을 제시 하는 부모.

 

여러가지 유형의 부모에 해당하는 것 같다. 아이가 유치원에 가지 않겠다고 떼를 쓰면 "왜 가기 싫은거야"

라며 과자로 유혹해서 보내기도 한 축소형 부모도 되었다가, 떼때로는 억압하여 강제를 보내기도 했고,

방임형처럼 대하기도 했다. 아이의 감정을 무시한체 부모인 나의 감정대로만 행동을 했던것이다.

늘 부모인 죄로 희생아닌 희생을 해야만 한다. 부모라는 이름을 선택했으니 이정도는 감수해야한다.

 

아이도  슬픔, 분노. 사랑등 다양한 감정을 가지고 있다.

이런 각각의 감정을 부모가 어떻게 코치해주어야 하는가 하는 것이 부모의 역할이다.

 

<감정코치 5단계>

1. 아이의 감정을 인식하기

2. 아이의 감정이 격해지는 순간을 친밀감 조성과 교육의 좋은 기회로 삼기

3. 아이의 감정이 타당함을 인정하고 공감하며 경청하기

4. 아이가 자기감정을 표현하도록 도와주기

5. 아이가 스스로 문제를 해결하도록 이끌면서 행동에 한계를 정해주기

이렇듯 감정코치를 하게되면 많은 효과를 보게 될 것이다.

 

코치란 경기에서 이길 수 있도록 도움을 주는 역할을 하는 사람이다.

아이가 훌륭한 경기를 치룰수 있는 역할을 부모인 우리가 해야하는 것이다.

 

나는 책을 읽기전에 동영상을 먼저 보았다. 동영상을 보면서 아이와 나와의 관계에 대해 생각하며

또 어떻게 해야할지 많은 고민이 들었다. 울 큰애는 감정기복이 너무 심하다. 그래서 늘 힘들다고만

생각했는데 나의 적절한 코치로 아이가 좀 더 성숙할 수 있도록 도와주어야겠다~

 

최근들어 내가 변해야겠다는 생각으로 많은 육아서를 읽게 되었다. 늘 반성하고 후회하지만.

같은 말들을 읽으니 약간 식상한 점도 있다. 하지만 100분의1 만큼이라도 나에게 도움이 되었다면

성공한 책이겠지.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