팩트풀니스 - 우리가 세상을 오해하는 10가지 이유와 세상이 생각보다 괜찮은 이유
한스 로슬링.올라 로슬링.안나 로슬링 뢴룬드 지음, 이창신 옮김 / 김영사 / 2019년 3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1장 간극본능
"종이 한장으로 강의실에 있는 괴물을 잡아라"
P36 아동 사망률 수치는 사회전체의 온도를 말해주는 거예요. 단지 아이들의 건강상태만을 나타내는 게 아니라 사회전체의 질을 보여주는 수치예요.

P37 똑같은 사례를 한 해 전에도 학생들에게 제시했다. 하지만 그 때는 수치를 증명하는 표를 함께 보여주지 않았더니 학생들은 세상이 발전했다는 내 말을 믿으려 하지 않았다.

P70 "세상은 둘로 나뉜다는 거대한 오해"
- 간극본능: 현실은 그렇게 극과 극으로 갈리지 않는다. 사람들이 간극이 존재한다고 생각하는 그 곳에 사실은 인구 대다수가 존재하다. 간극본능을 억제하려면 다수를 보라
- 평균비교를 조심하라: 분산을 살펴본다면 겹치는 부분을 발견할 것이다. (ex. 남녀 고교생의 수학성적에 대한 평균은 다를 수 있지만 상당수 겹치는 부분이 있슴) - 극단 비교를 조심하라: 흔히 간극이 존재하려니 생각하는 중간층에 사실은 다수의 사람이 존재한다.
- 위에서 내려다보는 시각: 위에서 내려다보면 시야가 왜곡된다. 4단계 구분된 수준별 사람의 생활은 동일하지 않다. 똑같이 작게 보이지만 사실은 그렇지 않다.

P95 부정본능: 좋은 것보다 나쁜 것에 더 주목하는 본능이다.

P103 상황이 나쁜 것과 나아지는 것 중 선택을 해야만 할까? 절대 그렇지 않다. 둘다 옳다. 상황은 나쁘면서 동시에 나아지고 있기도 하고, 나아지고 있지만 동시에 나쁘기다 하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