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대 아빠식 문해력 독서법 - 상위 1% 아이가 하고 있는
이재익.김훈종 지음 / 한빛비즈 / 2021년 3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세상살이의 기본을 배우는 과정
P42 "왜 아이가 공부를 해야하는가?"라는 질문에 명확한 답을 갖고 있나요?

P43 한일 양국에서 영화로 제작된 베스트 셀러 소설 ‘링’의 작가 스즈키 코지 ‘공부는 왜 하는가’라는 책을 썼습니다.
스즈키 코지는 ‘우리는 왜 공부하는가?’라는 원초적인 질문에 프랑스 혁명을 예를 들며 대답합니다. 프랑스 혁명에 대한 공부가 세계사 지식의 단순한 암기에 그친다면 혹은 그저 대학입시를 위한 외우기에 그친다면 ‘무슨 소용이냐?’는 주장에 수긍할 수 밖에 없습니다. 그러나 스즈키 코지는 세계사를 통해 어떠한 능력의 배양이 가능하다고 힘주어 말합니다. 그 능력이란 이 해력, 상상력, 표현력입니다. 요컨대 공부라는 것은 이해라는 인풋(input), 표현이라는 아웃풋(output) 그리고 그 사이를 이어주는 상상력, 이 세가지를 함양하는 훈련이라는 말이지요.

P45 인풋과 상상력과 아웃풋으로 이루어진 일들이 결국 우리의 ‘지겹지만 소중한 밥벌이’가 되는 과정입니다.

"독서, 과부하와 불량함도 필요하다" "결국은 문해력이 좌우한다"
P203 ‘문해력이 높다, 낮다’고 할때의 문해력은 ‘글을 읽고 쓸 줄 모른다’는 뜻의 문맹과는 다른 개념입니다. 문해력은 단순히 글을 읽고 쓰는 것을 넘어 ‘읽기, 듣기, 말하기’를 아우르는 모든 언어 능력을 동원해 글이나 말에서 겉으로 드러나지 않는 문맥을 파악하고 응용하는 힘을 말합니다.

"문해력을 높이려면 능동적 독서가 필수"
P205 강의를 들을 때 우리의 뇌는 TV 를 시청할 때와 마찬가지로 부교감신경이 활성화 됩니다. 교감신경이 비활성화되면서 우리는 편안한 심리상태를 경험하게 됩니다.

"읽고 필사하고 요약하라"
P208 능동적 독서를 위해 필요한 스쿼트 머신이 하나 있습니다. 바로 ‘요약하기"입니다.

P210 본문을 뜯고, 씹고, 맛보고, 완전히 자신의 것으로 소화합니다. 요약문의 문장은 모두 자신의 표현입니다. 물리적 요약이 화학적 요약으로 변모하는 데에는 봄, 여름, 가을, 겨울, 1년간의 시간이 오롯이 필요했습니다.

P216 요약은 중요한 정보와 중요하지 않은 정보를 구분하는 힘을 길러줍니다.

P236 "나 보기가 역겨워 가실 때에는 말없이 고이 보내드리오리다." 라는 음성이 일단 귀에 들리면, 대뇌피질 측두엽 가운데 일차 청각 영역으로 전달됩니다. 청각피질로 들어온 음성은 좌반구에 위치한 베르니케 영역 (Wernicke’s area) 으로 넘어갑니다. 바로 이 베르니케 영역에서 소리를 언어로 인식하게 됩니다. 베르니케 영역에 문제가 생기면 ‘진달래’라는 소리가 귀를 통해 뇌까지 전달되어도, 그 의미를 파악할 수 없게 됩니다.
베르니케 영역이 인풋이라면, 아웃풋에 해당하는 위치가 브로카 영역(Broca’s area) 입니다.

사람이 말을 못하게 되는 경우는 크게 베르니케 실어증과 브로카 실어증으로 나뉩니다. 베르니케 실어증에 걸리면 말은 유창하게 잘합니다. 다만 발화자는 자신이 또렷이 내뱉는 발화내용이 무슨 의미인지 알지 못합니다. 반면 브로카 실어증에 걸리면 ‘지..인… 다알…래… 꼬…옷’과 같이 제대로 알아들을 수 없는 불분명한 발음으로 말하게 됩니다. 청자는 알아듣기가 쉽지 않겠지만, 발화자는 정확히 진달래 꽃을 머릿속에 떠올리면 말하고 있는 겁니다.

P239 우리 뇌는 결코 두 가지 음성을 동시에 집중해서 들을 수 없습니다.
묵독을 하더라도 베르니케 영역은 활성화된다는 사실이 실험을 통해 확인됐습니다. ‘진달래’를 묵독을 해도 머릿속에서는 ‘진달래’라는 음독의 형태로 베르니케 영역에 이르게 됩니다.

판서를 읽으며 동시에 선생님의 강의를 듣는 것은 사실상 불가능합니다.

"글도 잘쓰고 말도 잘하는 아이는 무엇이 다른가"
P251 아이가 쓴 감사카드나 편지는 일정기간 이상 벽이나 책상에 꼭 붙여두세요. 가장 좋은 칭찬의 방식입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