담론 - 신영복의 마지막 강의
신영복 지음 / 돌베개 / 2015년 4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20. 우엘바와 바라나시

P324 대인춘풍 待人春風 지기추상 知己秋霜 남을 대하기는 춘풍처럼 관대하게 하고, 반면에 자기를 갖기는 추상같이 엄격하게 해야 한다는 뜻입니다. 우리는 대체로 반대로 합니다.

P325 "없이 사는 사람이 어떻게 자기 사정을 구구절절 얘기하면서 살아요? 그냥 욕 먹으면서 사는 거지요." 못 배운 사람들은 변명할 엄두가 나지 않습니다. 짧은 것이라 하더라도 자기 이야기를 끝까지 들어줄 사람이 아예 없습니다. 그냥 단념하고 욕먹으면서 살 각오를 합니다.
P328 절대로 미리 속단하거나 판단하지 않고 한 박자 늦추어 대응하자. 심지어 나를 지목해서 욕하는 것이 분명한 경우에도 다시 한번 확인합니다. "나 보고 하는 거 아니지?"

P320 *우엘바: 콜럼버스가 출항한 우엘바 항구 (Huelva, 스페인 남서부)
P330 중요한 것은 현대 미국을 미국의 역사와 함께 읽는 것입니다. 마찬가지로 현대 유럽을 아프리카, 라틴 아메리카와 함께 읽는 일입니다.

대상을 올바르게 파악하기 위해서는 반드시 그 반대의 것과 대비해야 합니다.

P336 "내 영혼이 따듯했던 날들" 中에서 백인 마을을 지날 때 백인들은 덜커덕거리며 행렬의 뒤를 따라가는 빈 마차를 보고 어리석은 체로키들을 비웃었습니다. 그러나 체로키들 중 어느 누구도 웃거나 그들을 쳐다보는 사람이 없었습니다. 빈 마차는 그들의 자존심이었습니다.

콜럼버스 이후 지금까지의 세계질서는 본질에 있어서 조금도 변함이 없었습니다. 유럽의 근대사는 한마디로 나의 존재가 타인의 존재보다 강한 것이어야 하는 강철의 논리로 일관된 역사였습니다. 그것이 개인이든, 회사든, 국가든 언제나 ‘나의 존재성’을 앞세우고 다른 것들을 지배하고 흡수하려는 존재론의 논리에 한없이 충실합니다.

P339 콤플렉스는 그것을 은폐하기 위해서 자기보다 못한 사람을 발견하려고 합니다. 자기의 하위에 그 사람을 배치함으로써 자신의 콤플렉스를 위무하려는 심리적 충동으로 기울기 쉽습니다. 보르헤스는 포스트모더니즘의 선구자입니다. 보르헤스는 촛불을 끄라고 합니다. "촛불을 꺼라! 촛불은 어둠을 조금 밀어낼 수 있을 뿐 그 대신 별을 보지 못하게 한다.

P342 1겁은, 바위 크기를 정확하게 모르긴 합니다만, 바위가 옷깃에 스쳐서 닳아 없어지는 시간입니다.

P344 바라나시 (varanasi): 인도 갠지스강 중하류의 도시, 힌두교의 성지, 바라나강과 아시강을 합친 지명이다. 산스크리트어 바라나시는 ‘신성한 물을 차지한다’라는 뜻이다. 갠지스강 연안에는 5km 에 걸쳐 가트(목욕탕)가 발달하였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