담론 - 신영복의 마지막 강의
신영복 지음 / 돌베개 / 2015년 4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15 위악과 위선
P265 벌레들의 문양이란 대체로 작고 힘없는 벌레들이 살아가기 위하여 도용하고 있는 것입니다. 재소자들의 문신도 그와 다르지 않다는 것이 이 글의 주제입니다.

P268 위악이 약자의 의상이라고 하다면, 위선은 강자의 의상입니다.

P270 테러는 파괴와 살인이고 전쟁은 평화와 정의라는 논리가 바로 강자의 위선입니다. 테러가 약자의 전쟁이라면, 전쟁은 강자의 테러입니다.

P278 객관 客觀은 뒤집으면 觀客이 됩니다. 사람들로 하여금 구경꾼이 되게 합니다. ‘관계없이 인식없다’는 결론입니다.
"관찰보다는 애정이, 애정보다는 실천적 연대가, 실천적 연대보다는 입장의 동일함이 더욱 중요합니다. 입장의 동일함 그것은 관계의 최고 형태입니다."

P279 우리가 어떤 사람을 잘 알기 위해서는 결정적인 전제가 있습니다. 바로 그 사람이 나를 잘 알고 있어야 합니다. 잘 안다는 것은 서로 ‘관계’가 있어야 됩니다. 관계없는 사람에게 자기를 정직하게 보여주지 않습니다. 관계가 있어야 할 뿐 아니라 애정이 있어야 합니다.

‘쑥’과 ‘잡초’의 차이는 이름에 있습니다. 쑥은 이름이 있는 풀이고 잡초는 이름이 없는 풀입니다. 이름이 있다는 것은 우리의 인식 대상이라는 뜻입니다. 쑥이 인식대상인 까닭은 우리와 관계가 있기 때문입니다.

P280 모든 인식은 그 대상과 자기가 맺고 있는 관계를 발견해 내는 것에서부터, 즉 관계를 자각하고 관계를 만들어 내는 것에서부터 시작됩니다.

P281 방글라데시의 그라민 Grameen 은행의 유누스 총재는 사람을 먼저 봅니다. 그 사람이 그 돈으로 무엇을 할 것인지. 그리고 어떻게 하고 있는지를 꾸준히 지켜봅니다. 그리고 그가 반드시 성공하도록 이끌어줍니다. 대출금상환율이 95%를 상회합니다.

P283 계급과 경제적 조건은 삶의 전부가 아닙니다. 삶을 구성하는 하나의 요소에 불과합니다. 빵없이 살수 있지만, 빵만으로는 살수도 없습니다. 사람은 경제적 동물이 아닙니다.
인간적 공감이 바탕에 깔리지 않는 한 관계는 건설되지 못합니다.

P284 결혼하기로 결심한 이유에 답변이 이러하다. "그 사람과 함께 살면 내가 더 좋은 사람이 될 수 있다는 확신이 들었기 때문이야"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