담론 - 신영복의 마지막 강의
신영복 지음 / 돌베개 / 2015년 4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3. 방랑하는 예술가
P42 현실과 이상은 반드시 함께 있습니다. 현실은 우리의 인식 속에서 끊임없이 이상화되고 반대로 이상은 끊임없이 현실화 되고 있습니다. 개체는 전체의 일부로서 존재합니다.

P49 낭만은 불어 ‘로망’ roman 의 번역어입니다. ‘이야기’란 뜻입니다. 논리 체계를 갖추지 않은 서술 일반을 ‘로망’이라고 합니다.

P52 추상은 복잡한 것을 간단하게 압축하는 것이고, 상상력은 작은 것으로부터 큰 것을 읽어내는 것입니다. 문사철이 바로 개념과 논리로 압축하는 것입니다. 방산의 몸체를 볼 수 있는 상상력을 키워야 합니다.

P53 우리가 공부하는 이유는 이 두가지 능력, 즉 문사철의 추상력과 시서화의 상상력을 유연하게 구사하고 적절히 조화할 수 있는 능력을 기르기 위해서입니다.

P54 귀곡자의 주장은 ‘설 說이 열 悅 해야 한다’ 는 것입니다. 말은 듣는 상대가 기뻐해야 한다는 것입니다.

P55 상대방을 설득해야 하고, 설득하기 위해서는 그와의 대화가 기쁜 것이어야 합니다. 자신의 지식과 도덕성이 다른 사람들을 불편하게 하는 것이어서는 인간관계에서 실패하게 마련입니다. 귀곡자는 언어를 좋은 그릇에 담아서 상대방에게 기분 나쁘지 않게 전달하는 것, 그것이 성 誠이라고 했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