감옥으로부터의 사색 - 신영복 옥중서간, 제3판
신영복 지음 / 돌베개 / 2018년 10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더 큰 아픔에 눈뜨고자 – 형수님께, 1982,2.9>

P233 철야의 어둠이 평단의 새 빛에 물러서는 이 짧은 시간에, 저는 별이 태양 앞에 빛을 잃고 간 밤의 어지럽던 꿈이 찬물가득한 아침 세숫대야에 씻겨나듯이, 작은 고통들에 마음 아파하는 부끄러운 자신을 청산하고 더 큰 아픔에 눈뜨고자 생각에 잠겨봅니다.

<따순 등불로 켜지는 어머님의 사랑 – 어머님께, 1982,4.30>

P243 돌과 돌이 부딪쳐 불꽃이 튀듯이 나(我)라는 생각은 ‘나’와’처지’가 부딪쳤을 때 공중에 떠오르는 생각이요. 한점 붙티에 지나지 않는 것, 그 불꽃이 어찌 돌의 것이겠는가, 어찌 돌속에 불이 들어었다 하겠는가고 싯다르타는 가르칩니다.

‘나’라는 것은 내가 무엇인가에 억눌려 무척 작아졌을 때 일어나는 불티같은 순간의 생각이며 물에 이는 거품 같은 것, 찰나이며 허공인 나를 버림으로써 대신 무한히 큰 나를 얻고, 더 큰 고통을 껴안음으로써 작은 아픔들을 벗는 진지(眞智)와 해탈은 불꽃을 돌에 돌려주고 거품을 물에 돌려주고 빈비사라 왕의 마음을 백성들의 불행에 돌려주려는 싯다르타의 뜻과 한 뿌리의 열매입니다.

<바다에서 파도로 만나듯 – 아버님께, 1982.5.25>

P246 새의 울음소리가 그 이전의 정적없이는 들리지는 않는 것처럼 저는 이 범상히 넘길 수 없는 소외의 시절을, 오거서의 지식이나, 이미 문제에서 화제의 차원으로 떨어진 철 늦은 경험들의 취집에 머물지 않고, 이러한 것들을 싸안고 훌쩍 뛰어넘는 이른바 ‘전인적 체득’과 ‘양묵’에 마음바치고 싶습니다.

<환동 – 아버님께, 1982,6.5>

P248 아버님의 자상하신 옥바라지에 비해 이렇다 할 진척이 없는 제 자신이 새삼 부끄러워집니다. 그러나 이 부끄러움이 때로는 다음의 정진을 위한 한 알의 작은 씨앗이 되기도 한다는 것으로 자위하려 합니다.

그것은 (정향 선생님의 행초서의 경지, ‘환동’) 물이 차서 자연히 넘듯 더디게 더디게 이루어지는 천연함이며, 속이 무르익은 다음에야 겨우 뺨에 빛이 내비치는 실과 같아서 오랜 풍상을 겪은 이끼 낀 세월이나 만들어낼 수 있는 유원함인지도 모릅니다.

<저마다의 진실 – 계수님께, 19827.13>

P256 ‘우주는 참여하는 우주’이며 순수한 의미의 관찰, 즉 대상으로부터의 완전히 독립된 가치중립적인 관찰이 존재할 수 없는 법입니다.

<그 흙에 새 솔이 나서 – 형수님께>

P259 열 다섯해는 아무리 큰 상처라도 아물기에 충분한 세월입니다. 그러나 그 긴 세월 동안을 시종 자신의 상처 하나 다스리기에 급급하였다면, 그것은 과거 쪽에 너무 많은 것을 할애함으로써 야기된 거대한 상실임이 분명합니다.

세월은 다만 물처럼 애증을 묽게 함에만 그치는 것이 아니라 옛 동산의 ‘그 흙에 새 솔이 나서 키를 재려 하는 것’ 또한 세월의 소이 (所以)입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