감옥으로부터의 사색 - 신영복 옥중서간, 제3판
신영복 지음 / 돌베개 / 2018년 10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9. 순자, 유가와 법가 사이
<하늘은 하늘일뿐>

P404 순자는 예에 의한 통치를 주장합니다. 바로 이점에서 덕에 의한 통치를 주장하는 주관파(맹자 계통)와 분명한 차이를 보입니다. 주관파에서도 공자의 극기복례를 계승하여 예를 중요시 합니다.

그러나 순자의 예는 공자의 예와는 달리 선왕의 주례가 아니라 금왕 今王의 제도와 법을 의미합니다. 대체로 안정기에는 예가 개인의 수양과 도덕규범으로 해석되고 사회변혁기에는 사회질서와 제도의 의미로 해석되는 경향이 있습니다.

P405 순자가 유가학파로부터 배척당한 가장 큰 이유는 아마 그의 천론 天論에 있다고 생각합니다. 순자의 천 天은 물리적 천입니다.

인간세상은 하늘과 아무런 상관이 없음을 선언하고 있습니다. 유가의 전통적 천인 도덕천 道德天을 거부하고 있는 것이지요. 순자는 종교적인 천, 인격적인 천을 거부하고 있습니다.

<인간의 능동적 참여>

P408 순자는 인간의 능동적 참여를 천명합니다. 천 天이 해결해주지 않기 때문입니다. 순자의 천론은 당시 생산력의 발전, 그리고 천문학의 발달과 무관하지 않다는 주장에 있습니다.

P409 인간의 적극의지와 능동적 실천에 근거하여 인문세계를 창조하고자 하는 것이 그의 궁극적 목표입니다.

P411 주희의 성리학은 기본적으로 이학입니다. 그런 이 理 (다스릴 이)는 매우 복잡한 철학적 주제이지만 쉽게 이야기한다면 바로 천 天입니다. 말하자면 이 理는 천리 天理입니다. 모든 사물에 내재되어 있으며, 세상을 관통하고 잇는 최고의 원리이자 규범이 이 理입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