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의 - 나의 동양고전 독법
신영복 지음 / 돌베개 / 2004년 1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고기는 잊더라도 그물은 남겨야>
P355 득어망전 得魚忘筌 득토망제 得兎忘蹄
(筌 통발 전, 兎 토끼 토, 蹄 굽 제)

전筌은 물고기를 잡는 통발인데, 물고기를 잡고 나면 통발은 잊어버리게 마련이고, 제 蹄는 토끼를 잡는 올무인데, 토끼를 잡고나면 그것을 잊어버리고 만다.

말은 뜻을 전하는 것인데, 뜻을 얻으면 말을 잊어버리는 것이다. 나도 이렇게 그 말을 잊어버리는 사람을 만나 그와 더불어 이야기하고 싶구나!

고기를 잡고나면 그 고기를 잡는데 소용되었던 기구를 잊어바린다는 것이지요. 그러나 나는 그 반대로 고기는 잊어버리고 망을 얻어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고기는 이를테면 하나의 현상입니다. 반면에 그물은 모든 현상의 저변에 있는 구조를 의미한다고 할 수 있습니다.

고기가 하나의 사물이라면 그물은 세상의 모든 사물을 망라하고 있는 천망 天網인 것이지요. 고기는 잊어버리든 잃어버리든 상관이 없습니다.

중요한 것은 그물입니다. 모든 사물과 모든 사건과 모든 사태가 그 위에서 생성 변화 발전하는 거대한 관계망을 잊지 않는 일이 무엇보다 중요한 것이지요. 한 마리의 제비가 아니라 천하의 봄이지요. 남는 것은 경기의 승패가 아니라 동료들의 우정이라고 생각합니다. 남는 것은 그물입니다. 그리고 그물에 관한 생각이 철학이라고 할 수있기 때문입니다.

<묵자의 검은 얼굴>
P365묵적처럼 형벌을 받았다는 사실을 이름으로 삼아 공공연히 밝힌다는 것은 그 형벌이 부당하다는 것을 드러내고 또 형벌을 두려워하지 않는다는 것을 공언하는 것이지요. 오히려 그것을 자랑으로 여기다는 것입니다. 반체제적 성격을 분명히 선언하는 것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백성이 국가의 권위를 두려워하지 않을 때 참으로 두려워해야 할 사태가 일어난다는 것이지요. 당시는 혁명의 시대였다고 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혁명적 상황에서 묵가는 통치권력의 정당성에 정면으로 도전하는 좌파조직의 좌파 사상이었으며 묵적이란 이름은 그것을 공공연히 밝히고 있는 것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