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의 - 나의 동양고전 독법
신영복 지음 / 돌베개 / 2004년 1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P292 <11장 빔이 쓰임이 됩니다>

그릇의 속이 비어 있기 때문에 그릇으로서의 쓰임이 생기고, 방의 빈 공간이 방으로서의 쓰임이 된다는 것 또한 너무나 자명한 사실입니다.

P293 나는 이장이 우리가 목적하는 모든 현상의 숨겨진 구조를 주목해야 한다는 메시지로서 읽히기를 바랍니다. 한 개의 상품이 있음 (有) 즉, 그 효용에 주목하기 보다는 그것을 만들어내는 노동을 생각하는 화두로 읽어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누군가의 기쁨이 누군가의 아픔의 대가라면 그 기쁨만을 취할 수 있는 권리는 아무에게도 없는 것이지요.

P294 참석했을 경우에는 눈에 띄지 않고, 결석했을 경우에는 그 자리가 큼직하게 텅 비어버리는 그런 분입니다. 아마 눈에 띄지 않는 자리에서 이것저것 꼭 필요한 일을 거두거나 거들었기 때문이라고 짐작됩니다.

P295 <제 17장 스스로를 신뢰하도록>

최고의 정치는 무치 無治 라는 것이지요.

그 다음이 백성들이 친애하고 칭송하는 임금입니다. 덕치 德治라고 할 수 있습니다. 물론 임금이 백성들을 자상하게 보살피기 때문에 백성들이 친애하고 칭송하겠지만 이러한 임금은 없는 듯이 존재하는 임금만 못하다는 것이지요.

그 다음이 두려운 임금입니다.

그리고 두려운 임금보다 못한 임금이 바로 백성들이 업신여기는 임금입니다. 멸시의 대상이 되는 임금이지요.

백성들을 믿지 못하기 때문에 그래서 백성들로부터 불신을 받는다는 것이지요. 요컨대 자도자의 가장 중요한 품성은 백성, 즉 민중을 신뢰하는 것입니다.

신뢰함으로써 신뢰받는 일입니다.

P297 노자의 자연 自然은 ‘nature’가 아닙니다.
-중략-
한마디로 최대한의 개념이며 가장 안정적인 질서가 바로 노자의 자연입니다. 수많은 실험을 거친 가장 안정된(stable) 시스템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