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의 - 나의 동양고전 독법
신영복 지음 / 돌베개 / 2004년 1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물은 낮은 곳으로 흘러서 바다가 됩니다.> - 제 8장

도무수유 道無水有 라고 했지요. 도는 보이지 않고 눈에 보이는 것 가운데 가장 도에 가까운 것이 물이라는 것이지요.

上善若水 水善利萬物而不爭 (若 같을 약, 爭 다툴 쟁)
處衆人之所惡 故幾於道 (故 예 고, 幾 기미 기)

상선약수 上善若水는 인구에 회자되는 명구입니다. ‘최고의 선은 물과 같다’ 이 경우 최고의 선은 현덕 玄德이며 도 道입니다.

물은 물록 현덕이 아닐 뿐 아니라 그 자체도 아니지만 그것을 가장 잘 표현하고 있는 것이지요. 노자가 물을 최고의 선과 같다고 하는 까닭은 크게 나누어 세 가지입니다.

첫째는 만물을 이롭게 한다는 것입니다. 우로 雨露가 되어 만물을 생육하는 것이 바로 물입니다. 생명의 근원입니다.

둘째는 다투지 않는다는 것입니다. 다투지 않는다는 것은 가장 과학적이고 가장 합리적인 방식으로 실천한다는 뜻입니다. 다툰다는 것은 어쨌든 무리가 있다는 뜻입니다. 목표 설정에 무리가 있거나 아니면 그 경로의 선택이나 진행방식에 무리가 있는 경우에 다투게 됩니다.

주체적 역량이 미흡하거나 객관적 조건이 미성숙한 상태에서 과도한 목표를 추구하는 경우에는 그 진행과정이 순조롭지 못하고 당연히 다투는 형식이 됩니다. 무리 無理를 감행하지 않을 수 없는 법이지요.
*無理: 이치에 맞지 않거나 알맞은 정도에서 벗어남

물흐르듯이 자연스럽게 하는 일이 못되는 것을 노자는 ‘쟁 爭’이라고 하고 있습니다.

손자병법에 ‘전국위상 全國爲上 파국차지 破國次之 (全 온전할 전, 破 깨뜨릴 파, 次 버금 차)’ 라는 구절이 있습니다. 나라를 깨트려서 이기는 것은 (破國) 최선이 못된다고 하고 있습니다. 전국 (全國), 즉 나라를 온전히 하여 취하는 것이 최상이라는 뜻입니다. 다투지 않는다는 것은 *작위 作爲하지 않는다는 것을 의미한다고 할 수 있습니다.
*작위 作爲: 의식적으로 행한 적극적인 행위

‘노자’ 마지막 장인 제 81장의 마지막 구가 ‘천지도 天地道 이이불해 利而不害 성인지도 聖人之道 위이부쟁 爲以不爭 (害 해칠 해)’ 입니다. ‘천지의 도는 이로울 지언정 해롭지 않고, 성인의 도는 일하되 다투는 법이 없다.’ 고 하고 있습니다. 물은 결코 다투는 법이 없습니다. 산이 가로막으면 멀리 돌아서 갑니다.
-중략-
깊은 분지를 만나면 그 큰 공간을 차곡차곡 남김없이 채운 다음 뒷물을 기다려 비로소 나아갑니다.

셋째는 사람들이 싫어하는 곳에 처한다는 것입니다. 가장 낮은 곳에 처한다는 것이지요. 비천한 곳,소외된 곳, 억압받는 곳 등 여러 가지 의미로 읽을 수 있습니다.

P287 물이 사람들이 싫어하는 곳에 처한다는 것은 가장 낮은 곳에 처한다는 뜻이며, 또 가장 약한 존재임을 뜻합니다. 가장 약하지만 무한한 가능성을 가지고 있는 것이 바로 물입니다. 민초가 그렇습니다. 천하에 물보다 약한 것이 없지만 강한 것을 공격하기에 이보다 나은 것은 없으며 이를 대신할 다른 것이 없다고 선언하고 있습니다. (78장)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