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276 특정한 역사적 국면에서 제도적인 물리력과 이데올로기적인 설득력을 장악하고 있을 때 헤게모니를 쥐고 있다고 말합니다.
마키아벨리에 따르면 특정한 역사적 국면에서 헤게모니를 장악한 자만이 군주가 될 수 있습니다.
<군주론>을 읽을 때는 마키아벨리가 ‘헤게모니를 장악하는 방법’을 어떻게 설명하고 있는지를 눈여겨 보아야 합니다.

P278 사유의 틀로서의 근대를 구성하는 요소는 세가지입니다.
첫째 정치적 측면에서는 통일국민국가, 둘째 경제적 측면에서는 자본제적 생산양식, 마지막으로 사회문화적 조직원리로서의 개인주의입니다.

P279 절대왕정을 때표하는 태양왕 루이 14세(1638~1715)는 ‘짐이 곧 국가’라는 말로 유명합니다.
혁명을 일으키고 결국 부르주아는 루이 16세를 처형함으로써 주인 자리를 차지합니다.
1789년 프랑스혁명은 나라의 주인이 바뀌는 과정에서 일어난 사건입니다.

그런데 혁명이 끝나고 조금 시간이 지나자 가난한 사람들도 나라의 주인 노릇을 하겠다고 들고 일어섰습니다.
이것이 바로 19세기에 발생한 프로레탈리아 혁명입니다.
(1848년, 1871년)

P281 신의 은총을 향해 가는 단테의 <신곡>과는 달리, 마키아벨리의 <군주론>에는 신에 대한 이야기가 없습니다.
모든 것을 신에게 의지하고 살던 사람들이 세속화된 세계에서 살게 되면 신을 대신해서 믿을 수 있는 어떤 기준이나 규범을 요구하게 됩니다.
이것이 있어야 공동체가 유지될 수 있습니다.
이 때 세속화된 근대인들은 고대 희랍과 로마의 기준과 규범을 다시 찾아보게 됩니다.
플라톤과 아리스토텔레스, 스토아 학파에 대한 탐구가 시작되었습니다.
이것이 르네상스 인문주의입니다.
이탈리아의 갈릴레이 (1564 ~ 1642), 프랑스의 데카르트 (1596 ~ 1650), 잉글랜드의 뉴턴 (1643 ~ 1727) 등이 자연과학적 방법이라는 맥락에서 두각을 나타낸 사람들입니다.
세속화와 인문주의, 자연과학적 방법, 이 세가지는 이처럼 하나로 묶여 있습니다.

P282 <군주론>에서 군주는 왕위를 물려받지 않습니다.
그는 운명 (fortuna) 이 아닌 자신의 역량에만 의존합니다.

P289 고대 세계의 플라톤은 통치자가 지혜(Sophia) 를 갖추어야 한다고 말했습니다.
그러나 근대 세계의 마키아 벨리는 통치자가 기개(thumos)를 갖추어야 한다고 말합니다.
근대 세계의 정치가는 지혜가 아니라 힘과 기개가 필요한 것입니다.

P291 자신에게 무자비한 사람은 결단력이 있는 사람입니다.
무자비하게 결단해서 자기 갈길을 가는 사람이 진짜 ‘센놈’입니다.
자기에게 무자비한 사람은 남에게 관대합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