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196 기독교의 교리를 이해하는 데 필요한 문헌은 사도 바울의 서신들입니다.
흔히 바울의 4대 서신으로 불리는 것은 로마서, 고린도 전/후서, 갈라디어서인데 그 중 가장 중요한 것은 로마서입니다.

P198 단테가 추구하는 삶, <신곡>에서 보여주는 삶은 경건한 수도자의 삶입니다.

P204 영혼을 단련하면 - ‘단련’한다는 말에서 ‘연옥’이라는 번역어가 나왔습니다. - 천국에 갈 수 있기 때문에 고통을 받으면서도 행복할 수 있습니다.
베르길리우스는 위대한 시인이기는 하지만 세례를 받은 이가 아니기 때문에 천국에는 들어갈 수가 없습니다.

P205 단테는 고전 서사시의 전통에 따라 서두에서 무사이 (학문을 수호하는 여신, 영어의 muse에 해당) 에게 자신의 시를 보살펴 달라고 기도한다.

P211 사람은 이렇게 살아야 합니다.
훌륭한 말을 듣고 따라가야 합니다.
이것이 말의 힘입니다.
말이 권위를 잃어버리면 폭력이 나옵니다.
혹은 훌륭하지 않은 말, 말 같지 않은 말을 하는 사람, 자신이 한 말을 스스로 먹어치우는 사람이 권세를 쥐면 세상이 흉흉해집니다.

P213 지옥은 공정함을 실현하기 위해 생긴 것입니다.
여기서 흥미있는 구절은 ‘나를 거쳐’입니다.
"through me" 는 이탈리아어로 "per me" 인데, 이 말에는 ‘나 때문에, 나로 인해’ 라는 뜻도 있습니다.
여기서 "나"는 분명 지옥문입니다.
지옥문 위에 쓰여 있는 글귀이므로, 지옥문이 문 앞에서 선 사람들에게 하는 말입니다.

P214 "여기 들어오는 너희들은 모든 희망을 버릴지어다"
지옥에 들어가면 모든 희망을 버려야 합니다.
이마미치 도모노부는 이 문장을 "지옥에 가지 않아도 현실 세계에서 희망을 버리면 그 곳이 바로 지옥"이란 뜻으로 해석합니다.

P217 연옥은 한 마디로 죄를 씼어내는 곳입니다.
지옥에 있는 영혼은 절대로 구원 받을 수 없습니다.
그러나 연옥에 있는 영혼은 스스로 노력하고, 아직 살아있는 사람들이 그를 위해 기도한다면 구원받을 수 있습니다.
면죄부를 많이 산 사람들은 연옥에 있는 이를 위한 기도를 많이 한 것으로 간주되었던 것입니다.

P221 신(神)과 물(物) 사이에는 세 단계가 있다고 할 수 있습니다.
이 단계 모두 불멸을 추구합니다.
첫째 단계는 자식을 낳는 것입니다.
출산은 불멸하기 위한 가장 손쉬운 방법입니다.
그런데 자식을 낳기 위해서는 반드시 에로스 (eros) 가 있어야 합니다.

둘째 단계는 명예를 얻는 것입니다.
공동체를 위해서 좋은 일을 하면 명예를 얻고 역사에 이름을 남길 수 있습니다.
죽음으로써 이름을 남기고 그것으로써 불멸하는 것입니다.

셋째 단계는 진리를 관조하는 것입니다.
영원한 지혜를 얻고 싶다는 형이상학적인 욕구가 생겨납니다.
관조를 통해서 우주의 진리를 깨닫고 그것과 하나가 되면 우리는 신이 되는 것입니다.

자식을 낳기 위해서는 성욕을 잘 조절해야 하고, 명예를 얻기 위해서는 용기가 있어야 하며, 진리를 관조하기 위해서는 참다운 지혜가 필요합니다.
따라서 각 단계의 미덕은 절제, 용기, 지혜입니다.
그리고 이 세가지 미덕을 꿰뚫고 있는 힘이 바로 에로스입니다.

P231 사람은 자기 반성을 해야 발전합니다.
그런데 아무리 자기반성을 하더라도 어느 수준 이상은 못 올라가는 사람이 있습니다.
목표로 삼고 있는 기준이 낮기 때문입니다.
목표가 어중간하면 어중간한 성취밖에 이루지 못하는 법입니다.

*무사이 신:예술/기억의 신, 아폴론 신: 예언의 신, 미네르바: 지혜의 신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