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의 부모님이 이 책을 읽었더라면
필리파 페리 지음, 이준경 옮김 / 김영사 / 2019년 1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P275 아이에게는 노는 것이 곧 일이며, 우리가 어른의 일을 진지하게 생각하듯이 아이의 놀이도 진지하게 받아들여야 한다.

P279 어차피 투자할 시간이라면 나중에 아이와 씨름하듯 부정적으로 보내는 것보다는 애초에 적극적으로 아이와 놀아주며 보내는 편이 나을 것이다.

P287 요람을 흔드는 손으로 세상을 만든다는 말이 있다.
아이들을 평가하지 않고 사랑으로 키우는 것, 아이가 느끼는 감정을 하찮거나 잘못됐다고 치부할 것이 아니라 배려해주고 수용해주는 것은 미래사회의 구성원을 길러내는 부모의 책임이다.

P293 모든 행동은 의사소통 시도다.
그러므로 모든 행동의 기저에는 그것을 촉발한 감정이 있다.
자녀의 특정 행동 뒤에 숨겨진 감정을 찾아내 공감해주고, 그것을 언어화해 표현하도록 도와주면 아이도 행동을 통해 표출할 필요를 덜 느끼게 된다
상황을 아이의 처지에서 생각하면 이해하기가 더 쉬워진다.

P295 아이는 부모에게서 타인과 관계 맺는 방식을 보고 배운다.
부모가 자녀에게 자신의 계획이나 뜻을 강요하는 형태로만 관계를 맺으면 아이 역시 유해한 관계 맺기를 배운다. 타인과의 관계를 ‘명령하는 사람’과 ‘따라야 하는 사람’ 다시 말해 ‘지배자’와 ‘복종하는 사람’ 으로 단순하게 인식하면 아이의 인격 성장에 심각한 제약이 걸릴 수 밖에 없다.
예를 들어 한쪽은 ‘피해자’ 한쪽은 ‘가해자’라는 관계 설정에 자주 노출된 아이는 피해자가 되지 않으려면 가해자가 되어야 한다고 생각하거나, 아니면 자신은 항상 피해자일 수 밖에 없다고 당연하게 생각한다.

P298 아이들이 보는 행동은 거의 다 한 때이며 그 시기가 지나면 그걸로 끝난다.
그러니 그때그때 상황에 맞는 해결책이 있다면 적용하면 그만이다.

P299 부모는 아이에게 바람직한 행동을 보여주는 롤 모델이 되어야 한다.
1. 일이 내 뜻대로 되지 않을 때 좌절하지 않고 인내할 수 있는 능력
2. 융통성
3. 문제해결 능력
4. 다른 사람의 관점에서 사물을 바라보고 느낄 수 있는 능력

앞에서 이야기했던 사례에 적용해보자면,
1 나는 어서 집에 가서 쉬고 싶었지만, 플로는 집에 가는 도중에 길가에 앉아 쉬고 싶어했다. 이것은 내 계획과 다른 전개였지만, 좌절하지 않고 인내했다.
2 나는 계획했던 것보다 집에 좀 늦게 가도 큰 문제가 없다는 것을 인정하고 융통성을 발휘했으며
3 피곤하고 지친 아이를 쉬게 해 줌으로써 아이에게 닥친 문제를 해결했다. 그리고 마지막으로
4 딸아이의 관점에서 왜 중간에 쉬고 싶은지를 생각해보고 이해하려 노력했다. 또한 지나가던 노인의 관점에서도 왜 그가 그런 말을 했는가를 생각할 수 있었다.

P301 나이를 막론하고, 아이는 다그치고 혼내기 보다는 달래주고 받아줄 때 발달의 다음 단계로 더 수월하게 넘어간다.

P302 떼쓰는 아이를 가만히 보면, 아이도 그것이 즐거워서 하는 건 아니라는 걸 알 수 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