행복의 정복
버트란드 러셀 지음, 김병호 옮김 / 집문당 / 2015년 10월
평점 :
절판


P45 어느 정도 권태를 견디는 힘은 행복한 생활에 반드시 필요하다

P48 지구의 생명과 접하는기쁨은 어딘가 모르게 깊은 만족감이 따른다. 이 기쁨은 소멸되어도 그것이 가져온 행복은 그대로 남게 마련이다. 이 기쁨은 물론 자극적인 오락만큼 강하지는 못하다. 현대의 도시인들이 느끼는 권태는 거의가 대지의 생명에서 떠난 것들이다.

P50 단순한 육체적 피로는 지나친 것이 아닐 경우에는 행복의 원인이 되는 수도 있다. 피로는 단잠을 재촉하고 의욕을 북돋워주며 휴일의 기쁨에 흥미를 첨가한다. 현대의 문명국가에서 가장 큰 피로는 신경에 있다. 그런데 이 신경의 피로는 기이하게도 부유층에 많다. 즉 실업가를 비롯하여 정신노동자들 사이에 많지만, 임금노동자들에게는 거의 찾아볼 수가 없다.

P53 걱정이 되는 어려운 문제를 결정해야 할 경우에는 깊이 생각하며 곧 결단을 내린다.

P57 어떤 불행이 닥칠 때 실제로 그것이 일어난다면 어떻게 될까 하고 곰곰이 생각해 보라. 능히 일어날 수 있는 이런한 불행을 정면으로 노려본 다음에 결국 그 불행이 그다지 두려운 것이 아니라고 단정할 수 있는 정당한 이유를 스스로 찾아내라. 그러한 이유는 언제나 있는 것이다. 왜냐하면 기껏해야 내 한 몸에 일어나는 일이 결코 우주적인 의미를 가질 수 는 없기 때문이다. 그리하여 한 동안 최악의 경우를 내다보고 ‘그까짓 것은 아무것도 아니다’ 하고 자신있게 중얼거리게 되면, 당신의 고민은 거의 사라진거나 다름이 없다.

P58 모든 공포는 그대로 방임해 두면 더 악화된다. 공포를 다루는 올바른 태도는 그 공포를 이성적으로 냉정하게 정신을 가다듬어 생각하는 것이다. 요컨대 그 공포에 익숙해지면 공포는 감소된다

P59 용기가 많으면 고민도 적어지고 피로도 적어진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