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251 워싱턴대학교의 심리학 교수 존 가트먼 박사는 부부싸움의 원인 중 69퍼센트가 지속되는 문제에 해당된다고 말했다. 다시 말하면, 해결되지 않는 문제(상대의 가치관, 인식, 습관 등) 로 인해 서로 싸운다는 말이다.

P256 커뮤니케이션에 있어 "자국민, 즉 같은 언어를 사용하는 사람들끼리의 의사소통이 가장 잘 안된다"는 연구 결과가 있다. 말을 잘 한다고 소통을 잘한다는 것은 아니다. 소통이란 말이 아니라 가슴으로 해야한다는 말이다.

P257 부부가 서로 말하는 방식을 바꾸는 것이 행복을 부르는 비결이라고 말했다. (존 가트먼 박사) 무엇을 말하는가가 중요한게 아니고, 어떻게 말하느냐가 중요한 것이다.

P278 "시어머니도 못 챙기면서 무슨 다른 사람들을 섬기러 다녀? 장애아동들은 다른 사람들이 섬길 수 있지만, 시어머니는 나 아니면 누가 섬기지? 먼저 시어머니를 섬겨야 하는 거 아냐? 온전히 그 분을 섬긴 다음에 다른 사람들을 섬기는 게 순서 아닐까?" -중략- 사회생활이나 신앙생활, 봉사활동이 나쁘다는 게 아니다. 그러나 그 이전에 그들이 먼저 섬겨야 할 대상이 가족이라는 말이다.

P282 美 ‘가장 행복한 부부’ 경연대회에서 우승한 사람의 고백이다.
저희는 배우자에게 받고 싶을 때 도리어 주었습니다.
저희는 배우자에게 봉사받고 싶을 때 도리어 섬겼습니다.
저희는 혼자 간직하고 싶을 때 도리어 배우자와 함께 나누었습니다.
저희는 배우자에게 말하고 싶을 때 도리어 들었습니다.
저희는 배우자를 다스리고 싶을 때 도리어 복종했습니다.
저희는 배우자를 원망하고 싶을 때 도리어 용서했습니다.
저희는 배우자와 헤어지고 싶을 때 도리어 머물렀습니다.

하루하루 그냥 살다 죽지 마라. ‘우물쭈물하다가 내 이럴 줄 알았지’ 라는 말이 있다. (영국 극자가 버나드 쇼의 묘비명이다)

P290 누군가 행복이 "Happyness" 가 아니라 "Happiness" 인 것은 다른 사람(You) 이 아닌 나(I)로부터 나오는 것이기 때문이라고 말한 것이 생각난다.

P294 "당신 참 한결같다. 요즘 내가 당신한테 가끔 신경질도 부리고, 짜증도 자주 내는 데 당신은 나 좋아하는 게 참 한결같네."

P295 배우자를 배우자! 그냥 말 장난이 아니다. 레오나르도 다빈치는 "아는 것이 적으면 사랑하는 것도 적다"라고 했다.

P301 결혼생활에 문제가 있는가? 부부간 갈등이 있는가? 초점을 배우자가 아닌 나 자신에게 맞추라. 나에 대해서 공부하라

P304 나는 행복이 추억 만들기라고 생각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