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59 문종대왕은 집현전의 어느 학사보다 학식이 높았다.

P61 술이 취하고 풍악이 울리더라도 과도히 질탕함이 없음이 군자의 잔치였다.

P62 세종대왕은 달랐다. 그 어른은 엄한데가 있어서 궁녀나 내시나 잘못한 것이 눈에 들어오면 때리기도 하고, 죽이기도 하였다.

P77 원천석이 "이 아이 모습이 내조(乃祖)와 흡사하오" 하던 말도 떠올랐다. 내조라면 태종대왕을 이름이고, 아버지 태종과 같다고 한 말에는 형을 극하고, 아버지를 극하고, 권력을 잡은 것도 포함된다는 뜻이다.

P87 권람은 권근의 손자라, 권근 때부터 3대나 지났으니 세상이 권근을 일을 잊을 만도 하건만 그렇지를 않았다. 전하고자 하는 공명은 곧 잊혀줘도 잊어주었으면 하는 허물은 전하는 법이다.

P92 그제야 권람이 수양대군 앞에서 자리를 피하여 앉으며 "나으리께서 그처럼 소인을 믿으신다면 인생은 감의기(*感義氣)라니, 소인이 **견마지역(犬馬之役)을 다하오리다"하였다.
*감의기:사람은 자기를 알아주는 사람의 은혜에 감동하여 분발하고, 자기를 희생한다.
**견마지역: 개나 말 정도의 하찮은 힘, 윗 사람에게 자기의 노력을 겸손하게 이르는 말

P94 "이 일에는 세 가지 사람이 있어야 하오. 첫번째는 모략있는 사람이요. 둘째는 용력있는 사람이니, 이 두 가지 사람은 일을 이루는 데 쓰오. 그러나 그 일이란 이루기보다도 지키기가 어려운 것이오. 수성이 창업보다 어렵다는 것이 이를 두고 이른 것이오. 그런데 모사(謀士)와 용사(勇士)는 창업에 쓰이지마는 수성지재(守成之材)는 따로 있는 것이오" 하며 어떠한 사람을 구해야 할지도 말하였다.

P96 수양대군은 곧 송도에 사람을 보내 한명회를 불러 올리라 하고 다시 권람을 향하여 지금 공경(公卿) 으로 있는 사람 중에 쓸만한 사람이 없을까?" "우의정 김종서 하나요. 하지만 김종서는 호랑이니까….. 호랑이는 길드는 법이 없소이다."

P100 진실로 한명회는 열 달을 못 채우고 미리 날 때에 선악을 가리는 양심 하나는 잃어버리고 나온 모양이었다.

P104 누구나 도덕적 양심만 떼어 놓으면 상당히 꾀가 나오는 법이지만 한명회의 계교는 실로 무궁무진하였다.

P111 "안평이 애매하지만 나 같은 사람을 만난 것이 제 팔자지" 하고 명회는 혼자 웃었다.

P119 다만 권람이 곁에서 보아 두었다가 후일에 자기의 천착스러움을 비웃지 아니할 만큼만 대응하였다.

P124 사람이란 궁할 때에는 밥 한 끼를 베풀어도 골수에 사무치는 것이니 사방에서 모여드는 불평객에게 우선 술 한잔, 밥 한 그릇으로 그 모여온 뜻을 사례하고, 후일에 각각 공로를 따라 높은 벼슬과 많은 녹이 있을 것을 보이면 나으리를 위하여 죽을 사람이 어찌 천이요 만뿐이리까. 이리하면 나으리의 힘은 대적할 수 없이 커지는 것이외다."

P125 "사마골(死馬骨, 죽은 말뼈)를 오백금으로 사는 것이 천리마를 구하는 법이외다. 범상한 사람을 겸손하고 후한 예로 맞아들이면 걸출한 사람도 찾아오는 것이외다. -중략- 한번 나으리의 세력이 이만하게 되면 마치 천하의 물이 다 한바다로 모여드는 모양으로 천하의 인걸이 다 나으리 세력을 따라 모여들 것이외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