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부머리를 완성하는 초등 독서법
남미영 지음 / 21세기북스 / 2019년 1월
평점 :
구판절판


93쪽 (언어적 추측 게임)
책을 읽을 때 재미를 느끼며 계속 읽어 나가는 것은 "언어적 추측 게임"이라는 두뇌 활동 때문이다.
눈은 단어를 읽지만 두뇌는 다음 장면을 상상하는 자발적인 추측 활동이다.
어려운 단어가 많이 나오는 책에서는 언어적 추측 게임이 일어나지 않는다.
읽는 글에서 아는 어휘가 75% 정도를 차지할 때 언어적 추측 게임이 가장 활발하게 일어난다.

106쪽
추측과 확인을 통해 독자의 두뇌 속에 만들어지는 줄거리는 작가의 것이 아니라 독자의 것이다.
책 한권을 읽었을 때 독자는 자신만의 줄거리가 완성되었다는 희열을 느끼는데, 이것이 독서가 주는 강력한 기쁨이다.
작가가 긴 글 속에 숨겨둔 퍼즐 조각을 찾아 온전한 줄거리로 완성했을 때, 독자는 작가가 작품을 완성한 후에 느끼는 창조의 기쁨과 유사한 감정을 느낀다

103쪽 (상승/하강 모티브)
우리를 행복하게 하는 문학에는 불안감, 고통, 갈등을 씻어 주고 보다 행복한 세계로 인도하는 요소(상승 모티브)가 들어 있다. (예, 미운 오리 새끼, 라퐁텐 우화, 이반 크릴로프 우화, 톨스토이 우화, 탈무드)
반면 문제 해결보다는 죽음과 파멸, 보복과 조소, 부정직과 속임수의 승리 (하강 모티브) 등 절망적인 결말은 독자로 하여금 삶의 어두움과 답답함을 경험하게 한다
행복한 동화를 읽히는 것이 독서 습관 형성에 도움을 준다

<추천도서>
톰 소여의 모험, 빨간 머리 앤, 제닝스는 꼴지가 아니야, 내 이름은 삐삐 롱스타킹,
이상한 나라의 앨리스, 키다리 아저씨, 크리스마스 캐럴, 지킬 박사와 하이드 씨, 개선문
팀달러, 팔아버린 웃음 /
엉뚱이 소피의 못 말리는 패션, 공주도 학교에 가야 한다, 공주는 등이 가려워, 우리 선생님 폐하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