진보를 복기하다 - 버리기 아까운 진보정책 11가지
이정희 지음, 박홍규 그림 / 들녘 / 2016년 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진보를 복기하다. 이정희. 들녘

 

2014년에, 민주주의 국가에서, 합법적으로 정당이 강제로 해산 됐다. 7-80년대 있었던 일이 아니었다. 21세기를 살고 있는 우리 눈앞에서 일어난 일이었다. 남과 북이 분단이 되어 있는 상황을 감안하더라도 설마 했던 일이 정말로 일어났었다. 벌써 16개월이나 지났다. 안 그래도 요즘 그 사람- 이정희 대표는 뭐하며 사나....하고 궁금증이 들었는데, 정당 해산이후 분을 삼키며 조용히 이 책을 쓰고 있었나보다.

 

진보를 복기하다이 책의 저자는 이정희다. 변호사이면서 18대 국회위원을 지냈고, 민주노동당, 통합진보당의 대표를 역임했던 그 이정희다. 그녀는 정당 해산 이후 자책감으로도, 타인의 질책 때문이라도 참 많이 힘들고 아픈 시간들을 보냈을 것이다. 하지만 그녀는 과거 자신이, 그리고 함께 일했던 사람들이 뿌려 놓은 씨앗들이 언젠가는 자라나길 바라는 마음으로 이 책을 정성스럽게 쓴 것 같다.

 

이 책은 전체 11개의 챕터로 구성이 되어 있는데, 과거 진보 정당에서 발의한 열한 가지 법안들과, 그 법안들이 만들어진 이유, 그리고 그 법안들이 지금도 필요한 이유, 그대로 폐기시키기에 안타까운 그녀의 마음이 이 안에 잘 담겨있다. 그런데 이러한 내용들을 통해서 나는 무엇보다 세상을 몰라도 너무 모르고 있었다는 생각을 할 수 있었다. 특히 법안들이 발의 된 이유를 살피면서 정부와 재벌 기업들이라는 강자들이 얼마나 많은 특권을 누리고 있었는지, 그로 인하여 얼마나 많은 사람들이 자신의 목숨과 가족들의 생계를 위협 받으며 고통 받고 있었는지에 대해서 구체적으로 확인할 수 있었다.

 

11개의 법안들을 통해 법이라는 것 자체가 상당히 구체적이고, 영향력이 있다는 것을 새삼 확인할 수 있었고, 법을 통해서라도 강제하지 않으면 안 될 무소불위의 권력들이 우리 가까이에 있다는 것을 실감할 수 있었다. 인상적인 몇몇 부분이 있었는데 그중에서도 아래의 인용은 구의역에서 일어난 사고와 기가 막히게 연관이 되어 마음을 아프게 했다.

 

산업재해의 특징은, 그 발생 원인이 사용자의 한 번의 실수에 있는 것이 아니라 사용자가 더 큰 수익을 낼 목적으로 만들어놓은 생산현장의 구조에 있다는 것이다. 산업재해는 불운한 노동자에게서 그치지 않고 또 다른 희생자를 찾아 끊임없이 반복된다.”

 

5-8호선에서는 정규직으로 스크린 도어 정비팀이 운영이 되는데, 1-4호선에서는 그렇지 못하고, 특히 2호선에서만 반복해서 사망사고가 나고 있다는 뉴스를 보면서, 위의 인용구가 머릿속에서 반복해서 떠올랐다. 산업재해가 아니라 기업살인. 말만 바꿔도 왜 이 법이 필요한지 절감하게 된다.

 

이 외에도 새롭게 배운 개념이나, 전혀 생각지도 못한 영역들의 문제들, 필요한 법안들을 보면서 사람이 사랍답게 사는 세상을 만들려면 사람들이 사람답게 살지 못하는 현장도 알아야 하고, 이런 모습을 바꾸기 위해서 무엇이 필요한지를 더욱 알아야겠다는 생각이 들었다. 너무나 당연한 이야기이지만, 정말 여러 가지 이유로 우리는 우리 주변의 사람들이 어떻게 사는지를 너무 모르고, 어떻게 도와야 하는지도 너무 모른다. 그래서 저자는 마지막에 이렇게 말했던 것 같다.

 

정치인이 무시 또는 비난을 감수하고 이런 정책을 낼 동기는 사랑 말고는 없다. 아픈 사람들을 사랑하고 또 사랑해야만 그들을 위해 사회 구성원들을 설득할 용기를 낼 수 있다. 사랑하기에 진보다.”


우리가 살고 있는 세상에 대해서 좀 더 관심을 갖고, 좀 더 나아지기를 원하는 사람들이라면, 그러나 너무 모르거나 막연하게 알고 있다고 생각한다면 이 책을 읽었으면 좋겠다. 물론 이 모든 것에 대해서 관심이 없는 사람들이 제일 먼저 읽었으면 좋겠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6)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