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러나 이 깜짝 놀랄 사실을 이미 모두 알고 있다. 그것이 바로 현대의 삶에서, 특히 도시의 환경에서 흡연, 약물 남용,
산모 관리, 무방비의 성관계, 길거리 폭력, 그 밖에 사망률 높은 활동과 관련해 공중보건 캠페인을 하는 이유다. 잠재적 자살에 관한 논쟁은 실제로 가난과 인간관계의 악화와 절망에사회가 미치는 역할에 대한 사회적 논쟁으로 향해 가고 있다.
그런 조건들을 너무 많이 가진 사람들에게 그런 조건들은 그들을 죽어야 할 시점보다 더 먼저 죽게 하는 행위의 조건이될 것이 분명하기 때문이다. - P1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