예루살렘의 아이히만 한길그레이트북스 81
한나 아렌트 지음, 김선욱 옮김 / 한길사 / 2006년 10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예루살렘의 아이히만. 한나 아렌트. 한길사.

설교에서도 몇 번이나 예화로 들었고, 방송에서도 ‘악의 평범성’이란 어구를 적잖게 들었던 것 같은데, 정작 내가 읽어보질 못했다. 오래전부터 읽어두려고 챙기어 둔 책을 꺼내서 읽었는데…. 읽기에 꽤 어려웠다. 나만 어려웠나 했더니만 그렇진 않은 것 같다. 한참을 붙잡고 읽은 것 같은데, 어렵고 건조한 글이 전달하는 여러 통찰, 주장이 묵직했다. 그냥 인용구들만 남기기엔 아까워서 몇 가지 인상적인 점들을 짧게 정리해보았다.

재판의 바탕이 된 유대주의에 대한 반발
한나 아렌트는 잡지사의 아이히만의 재판 보고서를 부탁받고 재판의 배경과 진행과정, 결과에 대해 최대한 객관적으로 서술하려고 노력한다. 본인이 홀로코스트를 피해 운 좋게 살아남은 유대인이었음에도 아이히만에 대한 적대감을 드러내기보다는 재판이 무엇인가 잘못되었다는 것을 지속적으로 언급한다. 재판의 결론은 이미 결정되어 있었다는 것인데, 그 이유가 지나치게 감정적, 민족주의적이었다는 것이다. 그가 보기에 이 재판은 정의를 만족시키기 위한 것이 아니라 희생자들의 복수를 위해서 열리는 재판이었다. 그녀가 보기에 이러한 목적은 법정의 한계를 넘어서는 일이었고, 결국에는 실패한 재판이 될 수밖에 없었다. 이 지점에서 한나 아렌트는 많은 유대인의 비판을 받았는데, 이런 부분에서 냉정해야 한다는 생각이 들었다. 만약 법정에서조차 복수를 위해 사람을 심판한다면 그 대상이 언제라도 바뀌어 내가 될 수도 있기 때문이다.

지독히 평범했던 아이히만
저자는 아이히만에 대한 자료를 꼼꼼하게 취합했고 그에 따라 평가한다. 놀라운 건 그에 대한 자료를 쌓으면 쌓을수록 그가 지독하게 악하고, 살육에 대한 고의성이 있었다는 증거가 늘어나기보다는 오히려 평범한 일상을 살아왔고, 어떤 면에서는 나치의 악행에 반하는 마음을 품거나, 그 마음을 실천으로 옮기기까지 했던 순간이 있었다는 것이다. 그는 솔직히 히틀러에 대해서 잘 몰랐다. 당의 정강도 몰랐고, 히틀러의 ‘나의 투쟁’도 읽지 않았다. 지인의 권유에 마음이 끌려서 친위대에 가입했을 뿐이다. 당에서도 승진하는 것이 좋았고, 자기보다 높은 신분의 사람들과 함께 있다는 것에 자부심을 느꼈다. 그가 히틀러에게 복종했던 이유는 그저 그가 성공한 사람이었기 때문이다. 게다가 총통의 명령은 법이 되었고, 법을 준수하는 것은 시민으로서 마땅한 의무였다. 아렌트가 보기에 아이히만의 인간적 결점이라면 ‘타인의 관점에서 바라볼 수 있는 능력이 거의 전무했다’는 점이었다. 아이히만은 스스로 이렇게 말했다. “나는 지배집단의 일원이 아니었고, 나는 희생자였으며, 오직 지도자들만 처벌을 받아야 한다...나는 괴물이 아니다. 나는 그렇게 만들어졌을 뿐이다.”(343)

사람을 마취시키는 언어
아이히만에게는 상투적인 말이 너무 많았다. 그의 말을 오래 들을수록 귀가 마비가 되는 것을 느낄정도로 지나치게 단순했다고 한다. 그러한 말로 죽는 순간까지 자신을 위로했다. 아렌트가 보기에 이것은 거짓말이라기 보다는 다른 사람의 개입을 막는 튼튼한 벽이었다. 그리고 (나치는)... 이러한 상투적인 말을 언어규칙으로 만들어 조직원들이 질서를 유지하고 제정신을 유지하며 맡은 역할을 충실하게 따르도록 했다. “내가 사람들에게 얼마나 끔찍한 일을 하고 있는가, 라고 말하는 대신, 나의 의무를 이행하는 가운데 내가 얼마나 끔찍한 일을 목격해야만 하는가, 내 어깨에 놓인 임무가 얼마나 막중한가”라고 살인자들은 말할 수 있었다.(174) 그들은 그렇게 말하며 유대인은 어디에서도 바람직하지 않은 존재들이라고 일반화했고, 죄책감에서 둔해졌다.

어떤 사람은 (나치를) 따르지 않았다
인류 역사에 어떻게 이런 일이 일어날 수 있었는가? 학살 명령에 거절할 수 없었기 때문일까? 대부분의 당원들이 히틀러의 명령에 복종했고, 끔찍한 학살이 자행되는 것을 알면서도 절대다수의 독일인들이 침묵했고, 심지어 같은 유대인 중에서도 이 만행에 참여했던 사람들이 심심치 않게 있었다는 점들은 그 누구도 대세를 거스를수없었다는 것을 보여주는 증거가 아닐까? 놀랍게도 모든 사람이 히틀러의 명령에 따랐던 것은 아니었다. 루마니아 같은 나라는 유대인을 학살하는데에 적극적으로 동참했지만, 덴마크, 이탈리아, 크로아티아, 불가리아 등지에서는 유대인을 살리기 위해서 법을 바꾸기도 했고, 주민들이 나서서 유대인을 편들어주기도 했고, 집단적으로 숨겨주기도 했다. 아렌트는 이점에 대해서 강렬하게 말한다. “공포의 조건 하에서 대부분의 사람들은 따라가지만 어떤 사람은 따라가지 않는다는 것이다. 그와 마찬가지로 최종 해결책이 제안된 나라들의 교훈은 대부분의 지역에서 그 일이 일어날 수 있었지만 그 일이 어디서나 일어나지는 않았다는 것이다. 인간적으로 말하자면, 이 지구가 인간이 거주하기에 적합한 장소로 남기 위해서는 그 이상의 것이 필요하지도 않다”(324)

읽기 힘들었고, 지루했지만, 생각할 주제가 상당히 많았다. 이분의 책들을 당장에 읽지는 못해도 집에 좀 더 챙겨놔야 하나....라고 생각했지만, 일단은 패스....ㅎㅎ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