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부
마리오 푸조 지음, 이은정 옮김 / 늘봄 / 2003년 4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이탈리아어 Corleone는 Lionheart, 즉 사자의 심장이라는 뜻이라고 한다. 시칠리아 코를레오네 마을의 마피아에게 가족을 모두 잃고 열두살에 미국으로 홀로 도망쳐온 비토 안돌리니가 자신의 성을 코를레오네로 바꾼 것은 자신의 뿌리를 잊지 않겠다는 다짐이었겠지만, 그것은 또한 생존을 위해 스스로 사자의 심장을 부여한 것인지도 모른다.  

아무튼 소시적에 대부는 말수가 적고 성실한 젊은이였다. 일찍 결혼을 했고, 가족을 부양하기 위해 제과점에서 일하다가 동네 건달 우두머리인 파누치 때문에 일자리를 잃고도 한참을 막노동을 전전했던 그였다. 그렇지만 막노동만으로는 도저히 가족을 부양할 수 없어서, 우연히 알게된 클레멘자와 테시오의 강도단에 합류하게 된다. 이 때만해도 그는 강도짓으로 떼돈 벌거나 다른 가난한 이민자들에게 폭력적 권위를 행사해서 뜯어 먹겠다는 생각은 없었다. 그는 그저 안정적으로 살 만큼만 도둑질을 했던 것 같다. 그러던 중 파누치란 놈이 또 그들에게 상납을 요구하자 그의 차가운 분노에 사자의 심장이 깨어난다. 그는 침착하게 파누치를 죽이고 증거를 없앤다. 파누치란 놈이 하도 나쁜 놈이었기에 대부는 동네에서 존경을 받게 된다. 하지만 그는 파누치의 조직을 자기가 맡아서 그처럼 강압적으로 상납을 받는 것은 거부한다. 그는 존경을 무기로 자발적 상납을 받게 되고, 그때부터 대부는 법이 지켜주지 못하는 가난한 이탈리아-시실리계 이민자들의 보호자로 나서게 된다. 그리고 타고난 비범함으로 분노를 드러내지 않고, '거절할 수 없는 제안'과 '설득("I will reason with him.")의 카리스마로 클레멘자와 테시오를 중간 보스로 거느리면서 뉴욕에서 막강한 마피아 패밀리를 건설하게 된다.  

대부의 시작을 보면, 그를 결국엔 자기 이익을 위해서라면 어떤 짓도 서슴지 않는 잔인한 범죄 집단의 우두머리가 되었다고 해서 그저 악인이라고 꽝 낙인 찍을 수는 없을 것 같은 생각이 든다. 아니 오히려 그의 '사자의 심장'다운 자유의지와 그것이 실제로 행사되는 모습에 압도되어 감탄하고 경외심을 가질 수 있을 뿐이다. 그는 약자를 괴롭히는 자들을 대신 응징하고, 약자들이 살 수 있도록 물심 양면으로 '우정'을 베푼다. 그 뿐만 아니다. 대부에게 신세를 지고 형편껏 갚는 사람들에게, 대부는 또 그 이상의 것을 돌려준다. 그의 세상은. 전직 경찰로서 나중에 마이클 코를레오네의 개인 경호원이 되는 프랭크 네리가 바라보듯, '노력한 만큼 댓가가 주어지는 세상'이기도 하다.  

그렇지만, 꿈 깨야 한다. 이건 모두 '내'가 그의 패밀리에 속해 있을 때의 이야기이다. 그의 패밀리에 속하려면 일단 대충 시칠리아인이어야 한다. (물론 톰 헤이건은 예외이지만). 그의 패밀리에 속하려면 자기 패밀리에 속한 사람만 인간으로 보는 잔인성도 필요하다. 그의 강력한 자유의지에 나의 의지 따위는 물론 필요도 없다. 한마디로, 그의 패밀리는 패밀리 밖에 있는 모든 것을 압박하고 갈취해서 평화롭게 유지되는 곳이다. 그런데 이 책을 읽고 있노라면, 꿈이 차라리 현실이었으면 싶다. 도대체 내가 왜 세상에 대해 신경을 써야하냔 말이다. 난 나를 보호해 줄 패밀리를 찾아야 한다!  

사실 이런 패밀리는 도처에 널려 있다. 우리나라에선 '줄'이라고 한다. 출신지역과 출신학교, 사는동네, 월수입, 친척의 배경 등의 요소가 복잡한 교집합을 이루어서 만들어지는 줄 말이다. 줄을 잘 서면 자기의 노력이 없이도 높은 지위에 오르고, 지위에 걸맞는 역할을 하지 않아도 부귀영화를 누릴 수 있다. 나 역시 그런 줄 몇 가지에 접근할 기회를 갖기도 했었다. 하지만 결국 포기하고 말았다. 줄을 잡고 있는 이의 인격에 내 쬐꼬만 자존심이 콱콱 짓밟혔기 때문인 것 같다. 내가 돈 코를레오네 같은 심장을 가졌더라면 당장의 모욕 따위는 가뿐하게 참아주고 시간을 먹어서 언젠가는 그 줄을 내 힘으로 흔들겠노라 했겠지만. 한편으론 그 줄을 잡고 있는 사람의 인격이 돈 코를레오네 같았다면, 줄에 들어선 신참의 코딱지만한 자존심을 그렇게 밟지도 않았을 것이다. 그러니 그들이 돈 코를레오네처럼 진정한 존경도 못 받고, 겉으론 우아하게 권위를 보이는 듯하지만 뒤에선 속빈 강정으로 비웃음을 사다가 결국 더 강력한 자유의지를 지닌 이에게 밟히고 별볼일없이 스러지게 되는 거겠지. 게다가 다행히도 지금은 돈 코를레오네가 패밀리를 세울 때처럼 생존 자체가 문제가 되는 시대는 아니다.. 따라서 나는 그냥 힘없는 개인으로 물러나 살아도 된다..(.. 정말 그럴까..?)  

새해 둘째날 책을 잡고서 그만 첫 출근일 새벽 네시까지 손에서 책을 놓지 못해 끝장을 보고야 말았다. 무엇이 나를 몰입하게 한 것일까. 이야기의 흡인력. 강력한 자유 의지에의 감탄과 경외심. 그러나 자유 의지는 어떤 인간에게든 있다. 내게도 마찬가지이다. 그런 자유 의지들이 서로 부딪히고자 한다면, 반드시 승자와 패자가 갈리게 되어 있다. 더 강력한 자유 의지에 복종하며 사는 것이 안전할 수도 있겠지. 하지만 자신의 자유 의지를 지키려고 한다면, 사실은 부딪힘을 피하고 개인으로 남으면 된다. 의사 줄스처럼 (물론 그도 결국은 패밀리의 일을 하게 되지만). 소니가 살아 남았다면 아마 마이클처럼. 나는 그런 선택을 했다고 생각한다..  

*돈 코를레오네의 시그너쳐라고도 할 수 있는 '거절할 수 없는 제안'이란 말은 사실 발자크의 인물 보트랭이 <고리오영감>에서 한 말이다. 보트랭이 돈 코를레오네로 환생한 건지도 모른다. 말수를 줄이고 더욱 표정이 없는 얼굴로 말이다. 하여튼 대부를 보면서 발자크에 대한 존경심(!)이 더 높아졌다.  

*번역이 약간 문제가 있다. 존대와 하대가 왔다갔다 하는 것이 어색하게 느껴지는 부분이 있고 지나친 의역으로 문장의 뜻과 느낌이 달라진 경우도 있었다. 예를 들면, 345쪽의 '그는 친구가 자기 장점을 과소평가 하게 하지 않고, 자기의 약점을 과대평가하게 하는 것이 사람이 살아가는데 가장 중요한 무기가 될 수 있다는 점을 누누히 강조했다.'라는 문장이 있는데, 원문은 'He claimed that there was no greater natural advantage in life than having an enemy overestimate your faults, unless it was to have a friend underestimate your virtues'로, '친구가 자기 장점을 과소평가하게 하지 않으면서 적으로 하여금 자기의 약점을 과대평가하게는 것의 중요성'을 말하고 있다. 또 'I will reason with him'은 단순히 '내가 결론을 내겠네'라고 번역되어 있지만 'reason with'라는 것은 단순한 담판이나 해결 이상의 의미가 있지 않나? 원문이 훨씬 깊고 무시무시한 의미를 내포한 듯 하다. 물론 읽기를 방해하는 정도는 아니다. 작품이 뛰어나다면 그 핵심은 어느 나라 말로 바꾸든 말을 뚫고 독자의 가슴에 꽂히는 것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