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중그네 오늘의 일본문학 2
오쿠다 히데오 지음, 이영미 옮김 / 은행나무 / 2005년 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주인공이 의사이고 포복절도할 이야기라고 해서 골랐다. 5년 반 동안 무려 147쇄나 찍힌 소설이었다. 그리고 내가 좋아하지 않는 이야기였고. 어른들을 위한 잔혹(!) 동화 쯤? 아르토 파실린나의 <자살여행>이나 파울로 코엘료의 <베로니카, 죽기로 결심하다>와 같이 묶일 만한. 요컨대 아무렇지도 않은 표정으로 위악을 떨면서, 결국 중요한 건 나 자신, 생의 의지다! 라는 말을 하려고 하는 (것 같은.)

이라부 같은 의사라면, 난 오분도 버티지 못할 것이다. 외모로 사람을 판단하지면 안된다는 것은 맞다. 그러나 외모에 전혀 신경을 쓰지 않는 것, 다른 사람이 자기에 대해 어떤 생각(첫인상이든 선입견이든)을 품게 될지에 대해 100% 무관심하며 자기 좋은대로, 그러니까 다섯 살 난 어린애처럼 당당한 것, '성격이란 건 기득권이야'를 외치며 상대방을 포기시키는 유형의 인간들을 나는 싫어한다. 위악이 위선보다 나쁘다. 도대체 찾아오는 환자들에게 모두 굵은 바늘로 비타민 주사를 찔러대면서 눈이 반짝거리는 의사를, 소설이니까 봐주는 거지, 현실에서 어떻게 봐 준단 말인가. 그러면서 마음 속에서 억압되어 있으면서 몸의 병을 불러일으키는 의뢰인(환자)들의 고민을 배출할 수 있는 길을 열어준다라니. 이건 판타지 소설이다. 

불쾌하기까지 한 이라부를 찾아오는 사람들에게는, 그러나 연민이 든다. 그들에게서 나의 모습을 본다. 물론 나는 그들처럼 고민도 화끈하게 하는 스타일이 아니라서 일상 생활과 직업을 하지 못할 만큼의 강박증은 (아직까지는) 보이고 있지 않지만 말이다. 어쩌면 일상 생활도 힘들게 하는 강박을 고치려면, 이라부같은 세상에는 존재하지 않는 판타지적 인물을 만나야만 가능한 일일지도 모른다. (그래서 내가 판타지 소설을 좋아한다..)

오쿠다 히데오라는 작가의 책이 많이 출판되어 흥미가 있었는데, 매사가 이런 식이라면 더 읽지 않겠다. 그렇지만 문득 '이라부라면 내겐 어떤 처방을 내릴까'가 궁금하기도 하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