은영전에 네 번째 도전 중. 무려 10년 전 첫 번째 도전에서는 3권까지, 두 번째는 2권까지, 2년 전 세 번째 도전에서는 겨우 1권 덮고 중단. 네 번째 도전에서는 1권은 패스하고 2권부터 읽고 있다. 기억보다는 ’흠좀읽을만한데!‘ 기분이라 성공할 수도 있겠지만.

은영전이 읽기 힘든 이유는 너무나 장르소설다운 클리셰들 때문이다. 특히 능력은 물론 외모 면에서도 먼치킨스런, 이름조차 요란한 라인하르트 폰 로엔그람. 금발에 장신에 조각같다는 외모에 대한 묘사는 이 인간이 등장할 때마다 빠지지 않아서 매번 으웩하게 되는데. 다음으로는 거대한 숫자. 전쟁에 동원되는 병의 수는 천만이 기본이다. 포로가 2백만씩 생긴다. 작가가 뭔가 과대망상적이 아닌가 생각하게 된다. 뭐 우주는 무한히 크니까 그 속에 인간 몇 천만이라고 뭐 대단할 게 있겠냐마는…이라고 생각할 수 있다는 것 자체가 인간을 너무나 하찮게 보는 것이라 거부감이 든다.

그런데도 읽어야 한다고 생각하고 꾸역꾸역 읽는 이유는 첫째는 스페이스 오페라의 그야말로 전설적인 작품이라는 것이 허영심을 자극하기 때문이고, 둘째는 위에 붙인 것과 같은 작가의 생각 때문이다. 더구나 지금 우리나라에서 또는 미국에서 민주주의란 게 돌아가는 꼴을 보면…

국가란 인간의 광기를 정당화하기 위한 방편에 불과할지도 모른다. 국가가 주체가 되면 아무리 추악하고 비열하고 잔학한 행위라 해도 사람들은 이를 쉽게 용납한다. 침략, 학살, 생체 실험과 같은 악업이 ‘국가를 위해’라는 변명 한마디에 때로는 칭송마저 받는다. 이를 비판하는 자가 오히려 조국을 모독한다고 공격을 받기도 한다.
국가라는 것에 환상을 품는 사람들은, 우수한 능력을 가지고 지적으로나 도덕적으로나 위대한 인물이 국가를 통치한다고 믿어 의심치 않는 것이리라. 하지만 실제로는 그렇지도 않다. 국가권력 중추에 위치한 인간이 일반 시민보다도 사고력이 유치하고 판단력이 불건전하며 도덕 수준이 열악한 사례는 얼마든지 있다.
물론 일반 시민보다 확실히 뛰어난 것이 있다. 권력을 추구하는 열정이다. 그것이 플러스 방향으로 작용할 경우 정치와 사회를 개혁하고 새로운 시대의 질서와 번영을 이룩하는 원동력이 되지만, 이런 사례는 전체의 1할에도 미치지 못한다. 한 왕조의 역사를 보았을 때, 그것은 대부분 당대에 이룩한 것을 10여 세대에 걸쳐 좀먹는 과정일 뿐이다. 반대로 말하자면 왕조와 국가는 매우 끈덕지고 강인한 생명체여서, 몇 세대에 한 사람 꼴로 위인이 나타난다면 세기 단위로 수명을 누릴 수 있는 것이다. 현재 은하제국처럼, 골덴바움 왕조처럼 부패하고 쇠약해져서는 이제 돌이킬 수가 없다. 100년 전 만프레트 2세의 개혁이 실현되었더라면 몇 세기를 더 기대할 수 있었을지도 모르지만.
자유행성동맹은 제국과 똑같이 생각할 수도 없다. 수십 년에 한 번 나올까 말까 한 위인에게 변혁을 맡기는 것 자체가 민주정치 원칙에 어긋나는 일이기 때문이다. 영웅이나 위인이 존재할 필요성을 없애기 위한 제도가 민주 공화정이지만, 과연 이상은 언제쯤 되어야 현실에 대한 승자가 될 수 있을 것인가.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