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스크바의 신사
에이모 토울스 지음, 서창렬 옮김 / 현대문학 / 2018년 6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1. 미국인 작가가 쓴 러시아 역사 격동기 러시아를 배경으로 한 러시아인의 이야기라는 것이 마음에 들지 않는다. 그러니까 작가가 미국인인 주제에 러시아인을 이야기한 것이 마음에 들지 않는다는 것이다. 살면서 깊이 겪어 보지 않고 그냥 책만 들입다 파도 ‘그 나라 사람’을 알 수 있는 건가? 진짜 러시아인이 이 소설 속에 묘사된 러시아를 보면 뭐라고 할지 궁금하다. 어쩌면 이 이야기는 배경이 꼭 러시아일 필요는 없을지도 모르겠다. 장기간 호텔에 연금된다는 상황을 집어넣기가 가장 쉽거나 그럴 듯한 곳이 러시아라서 그렇게 된 건지도 모르겠다.

2. 작가가 미국인이란 걸 덮고 보면 소설은 산뜻하고 우아하다(즉 러시아 소설스러운 면은 없다). 주인공 알렉세이 로스토프 백작(톨스토이 <전쟁과 평화>의 나타샤도 로스토프 백작가의 딸인데!)이 산뜻하고 우아한 인물이다. 뜨겁지 않지만 기분좋게 따뜻하고 차갑지 않지만 분명하게 선을 긋는 인물이다. 게다가 인문주의적 교양과 세련되고 우아한 귀족의 취향까지 갖췄다. 그가 이런 사람이 된 것은 어느 정도 타고나 성정도 있겠지만 소설에 설명된 대로 물질적으로 아무런 걱정없이 충분히 누리고 일상잡사는 시중드는 사람들이 챙기는 부유한 귀족의 아들로 태어났기 때문이다. 그가 메트로폴 호텔에서의 연금 생활에서도 바래지지 않았던 건 서른 셋이 될 때까지 이런 배경에서 쌓아온 내공 때문이다. 알렉세이 로스토프가 매력적인 만큼 나는 극소수의 사람만이 누렸던 그 배경을 떠올리지 않을 수가 없었다. 일종의 열폭인가..?

3. 사람은 환경을 지배하지 않으면 환경에 지배당하게 된다. 환경에 지배당한다는 것은 무슨 의미인지 금방 알겠다. 그러면 환경을 지배한다는 것은 무슨 뜻인가? Be the person you decide to be, not you are forced to be. 환경을 지배하려면 내가 어떤 사람인지, 혹은 어떤 사람이 될지를 먼저 결정해야 할 것이다.

4. 오바마 추천이라는데 빌 클린턴 추천인 <백년 동안의 고독>과 너무 비교되잖아!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