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전자책] 칵테일, 러브, 좀비 ㅣ 안전가옥 쇼-트 2
조예은 지음 / 안전가옥 / 2020년 4월
평점 :
- 수록된 4개의 단편을 읽고 공통된 공포가 있음을 눈치챈다.
작가는 계속 있는 지 없는 지에 대한 의심을 한다.
내 목에 걸린 가시가 실재하는 지,
귀신의 눈에도 헛 것이 보이는 지,
나를 따라다니는 스토커가 실제 존재하는 지.
실존과 착각 사이를 헤맨다.
그게 작가의 공포가 아닐까?
괴롭고 괴로웠는 데, 실재로 존재하지 않으면 어쩌지?
혹은 존재하지 않는 것 때문에 괴로워할 수 없으니까 실존에 대한 고민을 계속 하면서 괴로워 하는 것.
그 공포심이 이해가 되어 가슴에 꽂힌다.
그리고 증오.
˝결국 그 모든 중오의 밑바닥에 깔린 건 애정이었다.˝라는 언급처럼
증오와 애정. 그 양극단의 감정은 언제나 공포를 낳는다.
- 정보라와 비슷한 듯 다르다.
정보라는 읽고나면 사회, 구조와 끊을 수 없는 개인의 삶 같은 게 느껴지는 데,
조예은은 공포적 느낌만 남는다. 좀 더 개인적인 느낌.
[초대]
-나(채원)는 어릴 적 회 한점을 먹고 목에 가시가 걸렸다.
- 연인인 정현의 두상 제작중
- 정현은 초반부터 교묘한 평가를 시작한다.
- 이목구비가 없는 여자(태주)에게 리버뷰 리조트로의 초대장이 오는 데...
˝그건, 가시였다. 하얗고 하얀 가시. 정말로 그것이 존재했던 것이다.˝
˝그때의 나는 늘 목의 이물감에 시달렸다(....)
존재하지 않지만 나에겐 느껴지는 것. 그런 걸 어떻게 다뤄야 하는 지 나는 알지 못했다.˝
0. 묘한 평가, 묘한 압박, 묘한 가스라이팅.
있는 지 없는 지 판단하기 쉽지 않고, 타인에게 설명하기 어려워서
과연 이게 실재하는 가에 대한 의문까지 들게 하는 어떤 현상, 상황, 문제들.
하지만 시간이 지나고 나면 알게 된다.
그건 존재했다는 것을.
그 존재에 짖눌리고 있던 내가 실제로 있었다는 것을.
당시에는 알지 못해 현실인가만 자문하다가, 결국에는 흐지부지되어 버렸던 문제가
현실임을 자각하는 것은 얼마나 힘든 일인가.
하지만 그건 정말로 존재했던 문제였던 것이다.
결국 죽이고 마는구나.
그래 문제가 실존했다는 것을 알았으니, 이제 그 문제를 죽여야지.
실존은 죽음과 직결되는 것임을.
결국 태주는 나 였구나.
섬뜩하고 재밌네!
[습지의 사랑]
- 물(귀신) : 이미 죽었고, 언제 죽었는 지 모르지만, 하천에 빠져 물에 떠서 지냄
- 그 애를 만나 숲이라 명명하고 대화를 나눔.
이영(숲의 죽기 전 이름)
여울(물의 새로운 이름)
숲이 사라지면 이영은 어떻게 되는거지?
0. 세상에나! 귀신(유령)들의 애정에 막 이렇게 설레도 되는거야?
이영이 떠날까봐, 사라질까봐, 그래서 결국 여울 혼자 남는 결론이 날까봐 조마조마했는 데
결국 그들은 세상을 뒤엎고 아무도, 아무것도 신경쓰지 않는 둘만의 세계로 파묻힌다.
로맨틱한 것들.
습지의 사랑이라니, 꿉꿉한 마음이 들지만, 그래도 참 사랑이란...
서로의 이름을 불러준다는 것은 결국 사랑이구나.
0. 환영받지 못할 바에는 괴롭히자는 게 물의 생각이었다. 물이 아는 방법은 이런 것 뿐이었다.
0. 지금의 상태는 이상했다. 뭔가를 망치게 될 것 같은 기분이었다.
0. 궁금증은 갈증 같아서, 물 속에 있는 데도 목이 말랐다.(...)물은 이 갈증이 숲과 함께하는 순간에만 가신다는 걸 알았다.
[칵테일, 러브, 좀비]
- 세 식구 : 주연, 엄빠
- 아빠가 좀비가 됨
- 원인은 국밥집의 뱀술(변형 기생충) / 좀비처리 Z장의사
- 가격이 싸서 포획 및 사살은 직접 해야 함 / 아빠 머리에서 나온 새끼 뱀을 가지고 무당에게 가서 제사를 지내라고 하는데..
0. 뱀 술, 제사, 무당.
근데 사실 바이러스나 약물에 의한 좀비화만 생각하다가, 뱀술에 의한 변형 기생충이라고 하니 더 끔직하다.
내 뇌 속에서 뇌를 먹으며 조금씩 자라는 새끼뱀이라니.
노 즙! 노 수제 술!
0. 결국 그 모든 중오의 밑바닥에 깔린 건 애정이었다.
[오버랩 나이프, 나이프]
- 아버지가 과도로 어머니를 죽이자, 나도 과도로 아버지를 죽였다. 꺼진 의식사이로 들리는 ˝시간을 되돌려줄까?˝라는 음성.
어머니를 살리기 위해 다시 과거로 돌아가는 데...
- 한 여성이 수개월째 스토킹을 당하는 중이다. 나를 도와준 남자가 스토커가 휘두른 칼에 찔려 죽는다. 여자에게도 세 번의 기회가 주어지는 데...
˝이것은 흔한 이야기이다˝라고 시작하는 부분이 섬뜩하다. 너무 흔해서.
˝그들의 무관심은 또 하나의 공포였다˝
˝결국 벌어질 일은 벌어지지. 깔깔깔.˝
˝지방에서 올라와 대학교 근처에서 홀로 자취를 하는 여대생이 범죄의 표적이 되는 것은, 흔하다는 표현을 넘어서 어떠한 상식 같은 것이다. 어떤 범죄자도, 온 가족이 함께 사는 집에서 통학하는 건장한 남자를 노리지는 않는다.˝
0. 영화같은 스토리. 타임슬립이라고 해야 하나.
뻔한 것 같지만, 감정선을 따라가다 보면 뻔하지 않다.
모두가 괴롭다. 인간은 변하는 데, 언제 변하는 걸까? 그걸 알아서 근본적인 문제를 고칠 수는 있는 것일까.
나라면...아니, 누구라도 엄마를 살리지 위해 아빠를 죽이지 않을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