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자책] 서랍에 저녁을 넣어 두었다 문학과지성 시인선 438
한강 지음 / 문학과지성사 / 2020년 4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 소유하고 싶지만, 시집에는 취향이 없기에 이북으로 본다
- 그런데 첫 페이지 작가의 말부터 그냥 넘길 수가 없네.
첫 번째 시에서 또 넘기지를 못하고 감탄을 연발한다.
- 어떻게 이렇게 표현할 수 있을까,
어떻게 이런 단어를 이렇게 배열할 수 있을까.
시를 즐기진 않지만, 이 작가가 시를 잘 쓰는 건 알겠다.
- 슬픔을 이겨보려는, 외로움에 잠식당하지 않으려는, 아픔에 삼켜지지 않으려고
하는 모습에서 위안을 얻는다.
- 필사하고 싶은 문구가 너무 많았다. 언젠가는 할 수 있으려나.
- 가장 재미있게 읽은 시집 중 하나가 되지 않을까 싶다.
그 현란하지만 진정성 있게 고른 단어와 어휘들.
감탄을 자아내는 숨은 의미들.
다 알 수 없지만, 최대한 느껴보려고 몇 번씩 읽어보는 순간들이
시집을 즐겨읽지 않는 나에게는 낯선 경험이었다.
역시는 역시나구나.

- (어느 늦은 저녁 나는)
어느
늦은 저녁 나는
흰 공기에 담긴 밥에서
김이 피어 올라오는 것을 보고 있었다
그때 알았다
무엇인가 영원히 지나가버렸다고
지금도 영원히
지나가버리고 있다고
밥을 먹어야지

나는 밥을 먹었다

- (휠체어 댄스)
작가답지 않게 꽤나 격렬한 시라고 생각했는 데
마지막 첨언에 무릎을 친다. 강원래의 공연에 부쳐.
"단지 어떤 것도 날
다 파괴하지 못한 것뿐"

- (조용한 날들)
대관절 무엇이 생명 없음마저 부러워 하게 하는 걸까.
"좋겠다 너는,
생명이 없어서"

- (조용한 날들 2)
생명이란 무얼까. 어떤 생명까지 소중히 해야 하지?
어떤 생명까지라니.. 나는 무얼 생각하고 있는 걸까, 생명에 대해.
한계선을 긋는 건 항상 너무 어렵다. 앞이나 뒤에 긋고는 시련에 빠진다.
"찌르지 말아요
짓이기지 말아요
1초 만에
으스러뜨리지 말아요"

- (심장이라는 사물 2)
죽음이란 무엇일까. 정말 아무것도 아닌 게 될까.
삶이라는 배움을 정말 얻을까. 나는 무엇을 얻고 혹은 잃고 혹은 아무것도 아닐까.
"벽에 비친 희미한 빛
또는 그림자
그런 무엇이 되었다고 믿어져서요.
죽는다는 건
마침내 사물이 되는 기막힌 일
그게 왜 고통인 것인지
궁금했습니다."

- (몇 개의 이야기 6)
왜 자꾸 인생을 걸까. 생각해보니 마음을 거는 게 더 좋을 거 같아 깜빡 놀란 싯구.
"인생 말고 마음, 마음을 걸려고 왔어."

- (서시)
어느 날 운명이 찾아와 나에게 말을 붙이면?
저자는 조용히 그를 끌어안고 오래 있을 거라고 한다.
반문한다. 멱살을 안 잡고? 다그치지 않고?
그러다 이해하고야 만다.
그는 말이 필요없이 나를 이해하는 자.
그리고 얼룩진 뺨을 가진 자.

- (유월)
"그러나 희망은 병균 같았다"
"내 몸은 숙주이니, 병들대로 병들면"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레드 드래곤
토머스 해리스 지음, 이창식 옮김 / 창해 / 2006년 6월
평점 :
절판


한니발 렉터의 등장! 두둥!
절판되서 살 수도 없고 도서관에서도 구하기 어려운..
용인의 도서관에서 지인찬스로 빌려봄.

˝양들의 침묵˝ 앞 이야기.
잭 크로퍼드는 그대로 나오고
클라리스 대신 월 그레이엄이라는 프로파일러 등장.
근데 매력도에서 클라리스를 못 쫒아온다.

버팔로 빌 대신
이빨요정(붉은 용)이 등장.

전반적으로 양들의 침묵보다는 별로.
재밌는데 자꾸 비교하게된다.

역시 캐릭터의 승리는 양들의 침묵!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페스트 민음사 세계문학전집 267
알베르 카뮈 지음, 김화영 옮김 / 민음사 / 2011년 3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코로나19를 상기시킨다고 하기엔
너무 닮은 페스트.

서술자이자 의사인 리유.
사랑에 목메던 기자 랑베유.
글쓰기에 집착하는 시청직원 그랑.
페스트 시기가 오히려 좋은 코타르.
등등이 등장하는 페스트가 퍼진 도시 이야기.

생각보다 얌전하게 발병했고
병의 확산이 심각한데도 격리조치가 시원찮은 거 같은 느낌(한국인의 입장에서)이 들긴하지만
진짜 코로나랑 닮아도 너무 닮아 소름돋는다.

체념 희망 절망 공포 경계 의심 친밀 욕망
온갖 감정의 향연들.

시간이 흘러 질병은 사라진다.
마치 우연히 만난 누군가와 자연스레 헤어지듯이.

[페스트가 대체 무엇입니까?
그게 바로 인생이예요. 그 뿐이죠]

마지막,
˝또 다시 저 쥐들을 흔들어 깨워서..거기서 죽게 할 날이 온다는 것을 알고 있었기 때문이다.˝는 거의 저주처럼 느껴질 지경이다.

초현실주의 소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양들의 침묵 (리커버 에디션)
토머스 해리스 지음, 공보경 옮김 / 나무의철학 / 2023년 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도서관에서 보고 충동적으로 들고 온 책.
궁금하긴 하잖아. 못 참지 ㅎㅎ

초반엔
너무 영화와 전개가 똑같아서 그냥 카피본 읽는 느낌이었는데 점점 몰입되고 영화와 책이 혼재되어 감각이 풍부해지는 느낌이었다.
FBI 상관인 잭 크로포드와 렉터박사의 전사가 궁금해져서 다른 책이 빨리 읽고싶어졌다.

인물을 놓치지 않으려고 꼼꼼하게 메모하며 읽다가
같이 추리도 하고 무릎도 치면서
재밌고 신기하고 똑똑한 소설이란 생각이 든다.

후반,
클라리스 스탈링이 희생자의 집에서 범인의 생각을 추리할때,
범인의 집에 들어설 때,
범인과 대치할때,
나도 두근대며 이입이 됐다.

사실 영화의 세세한 부분이 기억이 안 났었는데,
그래서 더 좋았다.

아주 유명한 대사,
˝클라리스, 양들은 울음을 그쳤나?˝
소름~

마지막 문장,
˝그녀는 양들의 침묵 속에 곤하고 달콤하게 잠들었다˝

명작은 명작이구나.
희대의 캐릭터, 한니발 렉터!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박시백의 조선왕조실록 1 - 개국, 개정판 박시백의 조선왕조실록 1
박시백 지음 / 휴머니스트 / 2015년 6월
평점 :
구판절판


시작할까, 말까 고민하다 시작했는데
이미 읽은 책이었어 ㅋㅋㅋㅋ
그래도 다시 읽어본다.

재밌다.
고려말조선건국 얘기는 진짜 언제 들어도
흥미진진 재밌다.
이인임, 최영, 정몽주, 정도전, 이성계, 이방원.
공민왕, 우왕, 창왕, 공양왕.
살아숨쉬는 캐릭터들.

그런데 고려사가 더 최근작인데
조선왕조실록이 더 재밌다.
그림체도 유머감각도 설명도.
그래서 아쉬웠다.
초기작이 더 내 취향이고 좋아서.

마지막권까지 읽을 수 있을까?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