꼬마 원숭이와 꽃
우사 글.그림, 최순희 옮김 / BF북스 / 2012년 6월
평점 :
품절


BF북스

2012.08.01

5

꼬마 원숭이와 꽃

글과 그림 우사

부모를 잃고 외로운 꼬마 원숭이는 자기처럼 관심을 못 받고 밟힌 채 다친 꽃 한 송이를 발견한다.

상처 입은 그 꽃 한 송이가 자기와 비슷하다고 느낀 것일까?

꼬마 원숭이는 지극 정성으로 돌보고 그 정성에 보답하고자 꽃도 건강하게 살아난다.

그 후 언제나 꽃과 함께 지낸다. 꼬마원숭이 옆에 몸을 기대는 꽃과 원숭이의 모습이 정답다.

그러나 꽃의 생애는 원숭이의 생애보다 짧은 법!

꽃은 자신의 생명이 다해서 꽃잎이 지기 시작한다. 꽃잎의 개수가 조금씩 줄면서 마지막까지 떨어지고 꽃대만 앙상하게 남아서 원숭이를 바라보는 장면은 너무도 마음이 애처로웠다.

사랑하는 이를 통해 얻은 충만감과 행복감이 클수록 이별은 더욱더 깊은 상처를 남기고 그 상실감의 절정은

꽃이 죽고 없는데도 여전히 새 아침이 밝아오다니요.” 라는 문장으로 나타난다.

우리 아이는 그 문장의 의미를 잘 모른다. 내 감정이 이렇게 깜깜한 구멍처럼 침잠되어 있는데 내 고통과 상관없이 돌아가는 일상에서 느끼는 공허함은 경험한 자들만이 알 수 있다. 같은 공간에 있지만 전혀 다른 시간에 살고 있는 듯한 깊은 괴리감을 맛본다. 그런 상실감을 간결하면서도 극명하게 표현하고 있다.

밤에는 통곡의 눈물을 흘려서 볼 수 없었지만 어김없이 찾아온 아침으로 원숭이는 꽃이 떨어진 자리에 새잎이 돋아난 걸 발견하고 이번엔 기쁨의 눈물을 흘린다. 꽃의 마음을 알았기에 꽃이 남기고 간 소중한 선물을 받아서 행복해 진다.

사랑과 교감을 너무도 잘 표현한 그림책이다.

원숭이가 슬퍼하리라고 생각해서 꽃씨를 남기고 간다는 설정이 너무도 아름답다.

꽃 한 송이가 남기고 간 새싹들은 원숭이와의 사랑의 결과물이다.

꽃 한 송이와의 진정한 교감과 우정이 꽃밭으로 확산되고 넓어지는 마지막 장면이 인상적이다.

외로움을 행복으로 채워가는 방법은 다른 이와의 따뜻한 교감일 것이다. 그런 친밀한 관계를 만들기 위해 시간과 정성이 들어간다. 원숭이처럼 관심을 들여 애정을 쌓는 인내의 시간들 말이다.

원숭이가 행복을 얻어가는 과정 속에 들인 인내와 정성을 잊고 사랑만 바라고 투정만 부린 건 아닌지 생각해보게 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