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주보기 - 에리히 캐스트너 시집
에리히 캐스트너 지음, 정상원 옮김 / 이화북스 / 2021년 7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에리히 캐스트너 시집

마주보기

에리히 캐스트너 지음


원작의 제목은 에리히 캐스터 박사가 시로 쓴 가정상비약 마주보기이다.

몸의 통증을 완화하기 위해 가정에서 상비약을 사용하는데 마음이 아플 때는 어떻게 해야할까?

저자는 주관적인 개인적인 기분과 견해를 알리는 시는 피하고 마음을 치료하는 시를 처방처럼내놓았다.

외로움과 실망, 마음의 상처에 유머, 분노, 무관심, 아이러니, 명상, 과장이 필요하며 마음의 독소를 제거하는 마음의 약인 시집을 내놓았고 목차 다음엔 글 뒤에 사용 지침서까지 덧붙였다.

다른 사람의 글에서 자신의 근심과 걱정이 표현된 것을 보는 일도 상처를 치유하는데 도움이 된다.
다른 사람들도 우리와 다르지 않으며 형편이 더 낫지 않다는 사실을 아는 것도 치료에 도움이 된다.
우리가 처한 상태와 정반대의 경우를 공감해 보는 것도 마음에 안정을 준다. 본문 6쪽

코로나 시대 방에서 잘 나오지 않으면서 친구들과 채팅만 하는 중학생 아이를 보면서 너무 속 졌는데 학부모 모임 때 많은 아이들이 비슷해서 비슷한 답답함을 토로하는 부모들과의 대화는 내 문제를 해결해주는 것은 아니더라도 도움이 되었다.

슬퍼할 용기

슬플 땐 슬퍼하라.

자꾸만 마음을 다잡으려 하지 말라!

슬픔은

당신의 소중한 생명을 갉아먹지 않는다.

 

시보다는 아포리즘처럼 체험적이며 작가의 독창적이고 개성적이며 짧고 직설적인 시가 오히려 마음을 위로한다.

도덕

선은 없다,

예외는 있다: 우리가 선을 행할 수는 있다!

타인의 선함을 전제로 하면 위선을 발견할 때 참을 수가 없다.

특히 대안적 가치인 공동체의 연대와 다른 방식의 삶을 지향하는 단체에서 이기적인 모습의 사람들을 보면 사람들이 더 분노하는 것과 비슷하다.

종교인, 정치인, 운동가들 그리고 아쉬울 때 한배를 탄 가족애, 동지애, 자매애란 사랑으로

가슴을 찡하게 하지만 알맹이가 부족하거나 철저하게 기만할 때를 생각해보아라!

그렇다고 선이 없다고 한다면 견딜 수 없을 것이다. 그런데 예외를 둠으로 선을 행할 때만 선이 있음을 보여주는 이 시엔 개인의 행동을 이끌고 가능성을 준다는 점에서 위로와 용기를 준다. 그리고 사실 주변엔 알게 모르게 선을 행하는 사람들도 꽤 존재한다.

아무도 너의 얼굴 속까지는 들여다보지 않는다의 담대한 사람을 위한 버전과 소심한 사람을 위한 버전은 동일제목의 두가지 버전으로 재미와 감동을 준다.

감상

이 시집이 나왔을 때 독일사회 많은 가정들이 국민시처럼 읽었다고 하는데 어떤 시들은

아하~ 감탄하며 읊조리게 되고 어떤 시는 갸우뚱하게 된다. 그러나 100년 전에 나왔던 시집이지만

숙명이란 시처럼 사람은 임신과 장례식 사이에 있는 건 고난이란 저자의 시처럼 사람들은 매 순간 고난들이 다가온다.

 그냥 처음부터 읽는 것도 좋지만 내가 관심가는 부분이나 내가 갖고 있는 문제에 해당하는 카테고리를 찾아서 시를 읽으면 예상 밖의 시들을 만나면서 경직되었던 감정이 조금은 누그러지며 여유의 틈이 비집고 들어온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