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방자 신데렐라
리베카 솔닛 지음, 아서 래컴 그림, 홍한별 옮김 / 반비 / 2021년 5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자기다운 모습이   있는

변신(성장이야기

리베카 솔닛 아서 래컴 그림

환환

환경,인권운동을 하는 작가이자 페미니스트인 리베카 솔닛의 다시 쓴 신데렐라 이야기이다.학대와 억압받아 소외된 약자로서의 신데렐라가 요정을 만나 기회를 얻어 남의 노동에 기댄 왕비가 되는 신분상승 이야기의 전형성을 탈피하여 누더기에 하루 종일 고된 노동을 하지만 쥐와 도마뱀에게까지 온정을 미치는 활기 넘치는 신데렐라의 이야기를 담아낸다.

신데렐라가 도움을 요청하자 대모요정이 등장하고 대모요정의 변신과정에 적극적으로 도는 과정은 내재적인 성장의 힘을 가지고 있음을 보여준다.

신데렐라의 엄마가 선장이고 아버지가 판사인 이유는 무엇일까?

자신다운 모습을 발견하는 내면의 나침반을 가지고 있으며 타인에게 힘을 사용함에 있어 대모요정과 새어머니 중 선택할 수 있는 옳고 그름을 스스로 판단할 수 있을 만큼 지혜로움을 내포하고 있다고 생각한다.

 

아서래컴의 매혹적인 실루엣 그림과 잘 어울려요

이 글에 실린 아서래컴의 실루엣 그림의 매력에 빠진다. 세부적인 얼굴이나 표정이 없기에

표정들이나 얼굴을 상상하게 되며 동적인 그림을 세밀하게 보게 된다.

 

 

저자, 옮긴이, 아동문학평론가의 세 편의 글을 소개하고 있다

저자인 리베카 솔닛은 해방자 신데렐라를 쓰게 된 과정들과 저자의 생각을 섬세하게 담아내고 있으며 옮긴이, 평론가의 글 그리고 독자들이 이 책을 보고 느낀 생각들까지 최소 같은 동화를 읽고 4사람의 생각을 들어볼 수 있다.

신데렐라에서 해방자, 변신의 모티브를 얻은 저자의 해방자 관점의 신데렐라의 탄생배경, 저자의 소망, 불을 훔쳐 인간에게 전달한 프로메테우스와 같은 ‘신’적인 영웅이 아닌 불의 은유를 다루고 집이 내포된 은유를 김지은 아동문학 평론가만의 해석을 듣는 것도 매우 흥미롭다.

인상적인 문장

우리는 다들 마음속에 못된 새어머니처럼 그런 굶주림이 조금은 있지만 그래도 “나한테 넉넉히 있어.”라든가 “자, 이거 가져.” 또는 “잘 지내니?”라고 묻는 사람이 되려고 노력할 수도 있단다. 본문 39쪽

감상

페미니스트가 정치적 올바름을 실천하기 위해 원본과 이본을 마음대로 각색하고 자신이 전달하고 싶은 메시지를 인위적으로 전달하는 이야기를 별로 좋아하지 않는다.

원본과 이본의 출처를 밝히고 최대한 편집하지 않고 충실한 동화를 읽고 싶다.

그런 관점에서 보면 이 책은 저자의 의도가 들어간 다시 고쳐 쓴 신데렐라의 이야기이나

존엄하고 자유로운 인간상과 다른 사람들을 만나며 관계를 확장하고 타인을 도울 수 있는 힘을 가진 독립된 사람으로 성장하는 이야기다.

상생하는 윤리적 인간성을 상실하고 남을 짓밟고 모독하며 더 많은 것을 갈구하는 호모이코노미쿠스의 현신인 새어머니는 충족할 수 없는 욕망을 위해 타인을 조종하고 학대하는 우리의 어두운 모습이기도 하다. 우리는 새어머니처럼 자본의 욕망에 포획될 수도 있고 새언니처럼 새엄마의 욕망을 욕망하며 대리의 삶을 살 수도 있다. 자신의 정체성(엘라)을 찾고 어엿한 한 사람으로 독립한 신데렐라뿐 아니라 자신이 가진 재능과 일로서 도움이 필요한 굶주린 아이들, 도마뱀과 쥐까지 따뜻한 마음을 헤아리는 사랑에 대한 삶의 비전을 보여주는 이야기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