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리스토텔레스 시학 (그리스어 원전 완역본) 현대지성 클래식 35
아리스토텔레스 지음, 박문재 옮김 / 현대지성 / 2021년 3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아리스토텔레스 시학

아리스토텔레스 지음

시학이라고 하면 문학의 여래 갈래인 ‘시’만 국한 될 것 같지만 아리스토텔레스의 시학은

예술을 통칭한다. 시학은 시를 쓰는 법이란 실용적인 테크닉을 다룬 기술서가 아니라 보편적인 진리추구의 목적으로 체계화한 예술이론서에 가깝다. 역사서가 운문으로 써 있다고 해서 서가 예술이 될 수 없다.

소크라테스의 사물의 본질과 원리를 철저하게 이성적으로 추론한 방법론적 사상을 이어받고 플라톤의 도덕적인 삶이 진정한 행복이라는 사상을 계승하면서도 플라톤의 이데아론을 비판하여 인간의 감정을 진리를 실현하는 중요한 요소로 생각한다. 성격과 사상은 개인의 행위와 감정으로 표현된다.

특히 비극을 중요하게 생각하여 시학은 비극의 개념들과 구성요소와 사상들을 정교하게 기술하고 있다.

비극은 양념을 친 온갖 언어를 곳곳에 배치해 , 낭송이 아니라 배우의 연기를 통해, 훌륭하고 위대한 하나의 완결된 사건을 모방하여 연민과 공포를 느끼게 함으로써 그 감정의 정화를 이루어 내는 방식이다 26쪽

비극의 구성요소에서 가장 중요하게 여긴 요소는 행위나 사건을 구성하는 플롯이다. 아리스토텔레스는 플롯은 비극의 혼이라고 생각한다.

아리스토텔레스는 인간의 삶을 모방한 시와 극에서 보편 개념을 제시할 수 있다고 생각해서 역사서보다 우월하게 생각했으며 서사시보다 비극을 더 중요하게 생각했다.

관객은 비극을 통해 공포와 연민을 적절한 수준으로 간접 경험하여 감정의 정화를 통해 즐거움을 얻고 감정을 절제하는 미덕을 기를 수 있다.

감상

늘 간접적으로 인용되었던 아리스토텔레스의 시학을 통해 아리스토텔레스가 예술을 그리고 비극을 왜 그토록 중요하게 생각했는지 시학과 풍부한 해제로 이해할 수 있다. 시학이 등장하게 된 역사적 배경과 당시 그리스인들의 삶에 있어 서사시와 비극이 중요한 영향을 주었는지 그 시대상의 맥락을 이해할 수 있다.

아리스토텔레스의 목적론적, 행복에 대한 철학을 시학으로 알 수 있다. 두께가 얇고 난해하거나 어렵지 않게 서술되어 있어 직접 읽어보는 것이 더 도움이 될 수 있다. 시대적 맥락, 고대 그리스어란 낯선 언어에 대한 장벽이 높아 어렵다고 생각했는데 다른 고전보다는 더 즐겁게 읽을 수 있다.

아리스토텔레스시대의 문학, 서사시, 비극작품을 예를 들어 각 구성요소들을 설명하거나 개념을 설명하고 있어 당 시대 시인들에게도 체계적으로 시작을 하는데 도움될 뿐 아니라 오늘날에도 예술의 목적으로 카타르시스의 의미는 여전히 유효하다.

 

출판사로부터 도서를 제공받아 작성한 리뷰입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